천간론_경금_경금-무토-갑목(경무갑) (4)_청련향
庚戊甲
앞서 갑목과 무토에 대한 이야기를 (1)~(5)로, 각 5가지의 관점으로 말씀드렸습니다. 그리고 이 둘의 관계는 무갑충으로 다루었죠. 무갑충의 작용으로 이익을 보는 것은 신금이라는 저의 생각을 밝힌 바 있습니다.
2023.09.24 - [Observation/육십갑자의 관계성] - 천간론_무토_무갑충 (3)_청련향
천간론_무토_무갑충 (3)_청련향
戊甲沖 천간에서 양(陽)끼리의 부딪힘은 규모가 큽니다. 고래싸움입니다. 그러나 그에 따른 결과와 부산물로 재구성될 가능성이 남아있게 되는 충입니다. 예컨대 갑경충 작용은 음간인 정화에
victorianile.tistory.com
경무갑은 무갑충의 작용 아래에서 경금이 이익을 얻는 상황으로 볼 수 있는 데요. 왜 그럴까요? 경금은 신금을 이길 수 있습니다. 이 말은 곧 현실적인 면에서 경금이 앞서고, 신금은 경금에게 대장 자리를 줌으로써 자신의 업무 영역을 줄여 더욱 전문성을 갖추는 전략을 구사한다는 것입니다. 표면상으로는 신금이 진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책임과 명예 소지는 경금이고요. 이 상황이 바로 경무갑입니다. 지상 삼기격이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죠. 지상에서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생존, 바로 약육강식입니다. 우리가 불편해하는 진실 가운데 하나인데, 경무갑은 그 사실은 쉽게 받아들입니다. 이것은 사업에 유리합니다. 그러나 희생이나 헌신이 요구되는 영역에는 적절하지 않아요. 이것은 보편적인 이익구조가 아니기 때문이에요. 경무갑을 원국에서 가진 사람은 윤리적인 관점을 가지고 사안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안위를 보존하는 데 탁월합니다. 이 특성을 확장하여 보면, 위태로운 상황에서도 패닉에 빠지지 않고 생존을 강구하게 된다는 말입니다. 타인에게 피해를 줄지라도 자신의 생존을 위하여 나아갑니다. 물론 격국을 두루 살피는 과정이 필요하겠으나, 구성원의 생존력이 압도적이라는 것은 꼭 공동체 유지에 도움이 된다고 보기 어렵습니다. 양날의 검이지요. 반면 경무갑의 구조를 지닐지라도 천간에 병화나 정화가 있다면, 이 경금일간은 이타심을 갖춥니다.*
* 따라서 관을 갖춘 경무갑은 자신의 집단을 지키는 능력이 탁월하게 되고, 이상적인 리더이다. 이때 병화라면 생명 전체를 향한 헌신과 봉사를 기대할 수 있다. 정화가 갖추어진 경무갑은 자신이 소속된 집단에 집중합니다. 인류가 아니라 내 가족을 우선한다. 그러나 무토를 갖추고 있으므로 내 가족이 소중한 만큼 타인의 가족도 소중하다는 의미를 이해한다. 경금이 관을 갖추는 것은 중요하다. 경금과 신금은 천간 가운데 가장 잔인해지기 쉽다. 도덕성은 잔인함을 견제하며, 관으로 통제되는 경금과 신금은 생명을 보호하는 힘으로 탈바꿈한다.
🙃 궁금 포인트 : 경무갑이 가지는 가장 뚜렷한 특성은 무엇인가?
경금과 무토, 갑목은 모두 천간 가운데 양에 해당합니다. 견고하니 유연함과 다소 거리가 있습니다. 그러나 이들은 충의 작용으로 변화를 이끌어냅니다. 갑목은 무토를 극하고, 다시 경금은 그 갑목을 극합니다. 이 상황에서 무토는 갑목을 견제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경금을 자신이 처한 위험에서 구해주는 은인으로도 볼 수 있을 텐데요. 이때 주의가 필요합니다. 갑목을 용신으로 삼는 무토일간의 경우는 경금의 작용이 반갑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정화를 용신으로 삼는 무토의 경우는 경금을 반깁니다. 모닥불의 땔감을 만들어 주는 이가 경금이기 때문이죠. 화 용신의 무토는 대개 습하고 차가운 월지를 지니고, 대운에서 봄으로 향하는 무토입니다. 관을 견디기 위한 부스팅이 필요한 무토이며, 정월의 무토 역시 화용신일 수 있지요. 정월대보름의 쥐불놀이는 비록 짚새, 즉 마른 을목으로 이루어지지만은 겨울의 대지가 모닥불을 반김은 우리에게 생소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경무갑의 작용은 갑작스러운 변화로 그동안 신뢰하던 것이 배반되는 상황,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하는 데 유리합니다. 큰 변화와 큰 판단. 이것은 깊은 생각에서 깨어나는 모습을 떠오르게 합니다. 이 운동성을 정신으로 활용하면, 참선에서 돈오하는 모습과 다르지 않아요. 이것은 경제위기를 바탕으로 부의 기회를 거머쥐는 투자자들에게서 볼 수 있는 미덕입니다만, 성공한 투자자라고 하여 경무갑을 갖추었다고 단언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여러모로 흥미로운 운동성이 아닐까요? 주저함 없이 시원스러워 맑아요. 단순하고 명확한 삶의 방식을 가진 사람의 정신구조와 다름없어요.
🙃 흥미 포인트 : 경무갑의 장점을 극대화하는 전략은 무엇인가?
경무갑은 천을귀인을 삼는 지지가 같습니다. 이것은 일반적이지 않고, 경무갑만이 지니는 특성입니다. 삼기격을 보통 을병정, 그리고 신임계라고 봅니다. 이들은 한꺼번에, 그것도 동시에 작용하는 천간들이 아닙니다. 병화는 무토와 십이운성을 공유하고, 정화는 기토와 운의 흐름이 같으며, 을목은 지지 신금과 자수에서 훌륭한 기회를 마주하죠. 임수와 계수는 천을귀인을 공유하고, 특히 천간 신금은 지지 인목과 오화를 기점으로 폭발적인 성장을 이루고요. 따라서 경무갑은 축토와 미토를 절대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 말은 곧 축토와 미토가 공망이 되는 경무갑구조는 공허감이 3배입니다. 공망이 축토인 경신일주, 미토인 경인일주입니다. 경자일주, 경진일주, 경오일주, 경술일주가 천간에 무토와 갑목을 나란히 가지게 된다면 그 변화의 작용을 강하게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축토와 미토는 지지에 금과 목을 가두는 창고입니다. 지지 흙끼리의 만남은 보수성을 거두고, 변화를 꾀하는 작용을 일으키는 데요. 특히 에너지를 극대화하는 데는 충돌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경무갑의 장점과 단점을 극단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일주로 경진일주와 경술일주가 있으며, 이들이 괴강인 점에 주목하여 보시기 바랍니다. 경무갑을 갖춘 경진일주와 경술일주는 큰 변화에서 승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경진과 경술이 나아가는 방향은 철저히 반대입니다.
이러한 점을 유심히 살펴보면 에너지의 균형을 알아차릴 수 있습니다. -50과 +50이 만나면 0입니다. 경진과 경술이 동시에 만나는 작용도 이와 같습니다. 어쩌면 '충'은 변화와 동시에 질서를 형성합니다. 우리는 수학을 도구로 우주를 이해하려는 물리학과 깊은 연관을 바로 진술충에서 볼 수 있는 것이고요. 원국에 진술충을 가진 사람은 우주의 이러한 특성을 몸소 경험하는 사람입니다. 정신의 무한한 확장을 경험할 수도, 혹은 자신이 가진 것을 한 순간에 송두리째 잃을 수도 있습니다. 삶이란 참으로 얄궂은 면이 있습니다. '카르마'를 전제로 노력을 권장하지만, 모든 이에게 충만한 보람을 주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경무갑을 원국에 가진 사람은 이러한 특성을 인지하고, 삶의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는 것이 현명합니다. 변화는 필연적이니 자신이 발달하는 방향으로 기울도록 노력하시면 됩니다. 이것은 사람의 힘으로 충분히 가능한 영역이에요.
오늘은 경무갑이 가진 에너지를 주제로 저의 사색을 정리합니다.
다음 시간에는 아름다운 금수쌍청에 대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지루할 수 있는 글인데도 방문하여 읽어주시는 분들 정말 감사합니다.
다음에도 만나요! 부디 늘 행복하고 건강하시고요!

이상 청련향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