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bservation/육십갑자의 관계성

천간론_병화_병화와 무토 그리고 기토(병무기) (5)_청련향

청련향 2023. 3. 20. 19:03
728x90
반응형
SMALL

 

 

병무기(丙戊己)

 

 

햇살의 작용력을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살필 수 있다. 병화 생 무토와 생 기토의 관계이다. 이 둘은 결과가 다르다. (좌) (Enrique_Pixabay) (우) (alohamalakhov_Pixabay)

 
 

병화가 에너지를 발산하는 방식병화의 식상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 바로 이 글에서 병화의 입장에서 바라본 무토와 기토를 구분해 보기로 합니다. 우선 무토는 병화에게 식신입니다. 사막의 태양을 떠올려보도록 합시다. 사막에는 오아시스는 있을지라도 깊게 고이고 꾸준히 흐르는 강은 드뭅니다. 무토는 계수와 합을 이룰 뿐 임수를 극하여 압도하기 때문입니다. 무토가 수용할 수 있는 수분의 종류로 계수가 수월합니다. 이러한 점에서 무토는 임수가 과도해지는 것을 제압할 수 있게 됩니다. 반면 공기 중의 수분을 끌어올리거나 끌어내려 물방울의 순환을 돕지요. 이러한 작용은 병화의 일이기도 합니다. 병화가 무토와 함께한다면 병화는 손과 발을 얻은 듯이 일이 수월하고 빠르게 진행되는 것을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병화는 무토를 건조하게 만들고 양기를 끌어올립니다. 토양은 태양에 의하여 그 형태를 유지하고 견고하게 만물을 지탱하는 셈이죠. 흙이 단단해지는 시간은 흙이 태양의 빛과 열에 수분을 조절할입니다. 실은 지구의 핵은 고온의 열이 응축되어 있다고 하지요. 그래서 화산활동을 보시면 아주 뜨거운 용암을 볼 수 있고요. 이러한 점에서 무토를 완전히 생하는 것은 병화가 아니라 정화입니다. 반면 기토의 경우는 병화가 완전히 생하는 흙이라는 사실을 유추할 수 있는데요. 바로 병화에게 상관인 것이 기토이기 때문입니다. 병화는 강렬한 에너지를 가지고 있는 탓에 천간의 인성 외에는 그다지 인성이 중대하지 않습니다. 즉 병화는 뛰어난 활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곧 병화의 경우 그 강한 에너지를 훌륭하게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말도 됩니다. 병화의 실력, 에너지가 강렬하게 드러나는 것은 기토입니다. 병화의 입장에서 관성에 해당하는 수분, 즉 임수와 계수를 제어하지요. 이제 병화가 무토와 기토를 생하는 경우와 결과를 구체적으로 살피도록 하겠습니다. 

 
 

1. 병화가 무토를 살리는 경우 

 
 

무토는 넓고 평탄한 것이 된다. 병화는 빛을 모든 방향으로 발산하므로 무토를 생하는 작용이 어렵지 않다. (청련향)

 
 

메마른 흙을 대표하는 무토는 병화가 끌어올리고 순환을 도울 수분이 적은데요. 무계합화 작용은 표면의 수분을 전기 혹은 열로 쉽게 변하게 만들고, 지하부에 물을 가두는 역할을 뛰어나게 해냅니다. 즉 지켜야 할 비밀, 흙의 입장에서 물은 재물이기에 돈을 잘 지킨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병화가 무토를 생하는 경우는 병화의 입장에서 손쉽게 사막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무토의 특성에 따라 크게 드러나는 등 광활한 규모로 실력이 발현됩니다. 또 병화의 에너지를 발산할 수 있는 면적이 넓으나 얕은데요. 규모가 큰 일이지만, 세심하게 주의를 요하는 일은 아니라는 점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사막에는 그림자를 만드는 초목이 드뭅니다. 그렇기 때문에 병화가 빛을 비추는 영역도 넓고 그에 따라 건조하기가 쉬운 여건이 심화됩니다.
 
 
식상은 곧 재성을 살리기 위한 방편이 된다는 점에서 병화가 생하는 무토의 역할은 '물이 많아서 병에 든 경금이나 신금이 건강을 회복'하는 데 있습니다. 그러나 이미 건강한 금(金)에게는 오히려 이들을 약하게 만들고, 상하게 합니다. 혹시 건조하여 바스러지는 바위를 본 적이 있으실까요? 무엇이든 조화가 중요하기 때문인지 무토가 과도한 금(金)은 길하다고 단순히 판단할 수 없습니다. 병화의 입장에서 재성인 금이 흉해질 수 있다는 것인데요, 이는 병화에게 반가운 상황이 아닙니다. 노력에 비하여 결과가 만족스럽지 않다고 해석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무토와 균형을 이루는 수분이 원국의 지지에 자리한다면 만족스러울 수 있습니다. 병화에게 재성인 금(金)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뿐더러, 결과물[재성:財星]이 명예[관성:官星]와 연결되는 것이니 순환이 원활해져 생기(生氣)가 돌기 때문입니다. 
 
 

1-1. 결과

 
 
병화가 무토를 생하는 경우는 계수의 역할에 따라 차이가 발생합니다. 사막의 오아시스는 무계합의 결과물이기 때문인데요. 무토는 건조하지만 귀한 수분이 있어 그로 인하여 아름다움이 있다. 이때 계수가 해수로 뿌리를 얻으면 길합니다. 계수가 뿌리인 해수를 얻는 상황년지*, 월지*, 시지*로, 즉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병화에게 계수는 정관에 해당하지만, 병화의 빛을 가리는 역할을 하므로 병화가 태어난 계절에 따라 길흉의 차이가 있다는 말씀을 드린 적이 있습니다. 상황에 따라 요구되는 행동이 다르듯이요. 계수가 해수를 얻는다는 것은 생의 근원이 있어 계수가 극을 받아 위축되더라도 다시 회복할 수 있다는 의미가 됩니다. 이러한 점에서 계수가 소멸할 가능성이 줄어들고, 이에 따라 병화가 무토를 활발하게 생하더라도 치우침이 적어 병화가 마음껏 활동할 수 있는 균형이 이루어진다는 해석이 가능하므로 길하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년지 : 일간의 입장에서 년지는 그의 잠재의식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게 된다. 그러나 일지의 상태에 따라 년지와의 관계에서 공망이 되는 경우가 더러 있는데, 이때는 년지보다 월지와 일지의 중요성이 부각된다. 일간의 입장에서 어린 시절을 자세히 기억하는데 어려움이 있거나 그에 대한 영향을 받는 정도가 미미하다고 해석할 수 있겠다. 
*월지 : 일간의 삼업(三業: 口業, 身業, 意業: 말, 행동, 생각)이 아닌 일간이 소속된 집단을 설명하는 글자이다. 일간에게 가정환경과 젊은 시절, 성격을 형성하는 중요한 글자이기에 일지의 길흉과 시의적절성을 살필 수 있는 기준이 된다. 
*시지 : 일간의 입장에서 가고자 하는 방향이다. 젊어서의 꿈이나 활동이 월지라면 시지는 죽기 전에 꼭 이루고 싶은 무엇이 된다. 결국 사주 원국의 흐름은 년지부터 월지와 일지를 지나 시지를 향하여 가는 과정이다. 이러한 점에서 시지는 일지와 이루는 관계 및 반응이 좋아야 일간이 행복하고 안전할 수 있기 때문에 자세히 살필 필요가 크다. 

 
이때의 계수는 곧 오래도록 빛이날 오아시스나 다름없고, 다른 곳과 달리 수자원이 풍부하니 귀하고, 귀하니 가치가 높습니다. 이러한 점에서 병화에게 해수는 천을귀인을 작용력이 있습니다. 병화가 마음껏 활동할 수 있는 데, 이는 병화의 입장에서 지지에 편관을 맞이하는 것입니다. 편관은 일종의 극기심이자 헌신입니다. 이러한 점에서 병화 일간은 헌신하는 것이 삶을 드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병화에게 임수는 편관이며, 지지 해수는 천간의 임수가 지지로 나타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점에서 병화는 천간에 임수가 자리하여도 흠이 되지 않으나 무토는 임수를 극하므로 충돌상황을 감안하여야 할 것입니다. 무토와 임수는 합이 이루어지지 않으니 비교적 명료하게 마무리 지을 수 있는 흐름으로 뒤섞임이 없어 탁하지 않겠으나 충돌하면서 발생하는 에너지에 따라 파국으로 흐르지 않기 위한 지혜가 필요합니다. 이때 병화에게 지혜를 주는 것은 지지 해수가 되고요. 
 
 
결과적으로 병화가 무토를 생하는 경우는 무계합화의 영향으로 더욱 맹렬해질 수 있다는 점이 흠이기에 지지에 해수가 자리하면 길합니다. 특히 일지를 기준으로 시지와 성질면에서 조화가 있다면 길한 작용이 발휘되기 쉽겠습니다. 무토가 과해지는 것은 계절[월지]에 따라 차이가 있는 데 봄부터 가을까지의 경우가 유리합니다. 겨울의 경우는 흙은 제 기능을 하기보다는 쉬어가는 성격이 강하므로 병화의 입장에서 식신인 무토가 재성의 몸집을 키우는 용도라기 보다는 보호하는 것에 가깝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점에서 사업적인 성공보다는 재성을 훌륭하게 관리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현명하겠습니다. 
 
 

2. 병화가 기토를 살리는 경우

 
 

기토는 좁고 비옥한 수분을 머금은 것이다. 병화의 빛이 도달하지 않는 부분이 발생하며, 그곳은 그림자가 있다. (청련향)

 
 
기토는 농작물의 열매가 무르익고 당도가 강해지는 과정을 주관하니 병화가 기토를 생하는 것은 여러모로 보살필 영역이 무토에 비하여 좁고 깊습니다. 넓은 영역이 아니라 한정된 공간에서 많은 에너지를 사용하는 형태이며, 병화 일간의 입장에서 부지런히 움직여야 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기토는 갑목과 합하는 성질이 있으니 갑기합토 작용이 이루어진 토양은 증식하며, 그늘을 가집니다. 그늘은 태양의 빛이 머무르지 않는 곳이지요. 다만 구석구석 유의해야 할 부분이 많은데요. 단순한 일이 아니라 세심하고, 섬세한 일이 되겠습니다. 병화의 입장에서 주의가 요구되는 일이겠습니다. 정화와 달리 병화는 규모가 큰 일을 더욱 쉽게 해낸다는 점에서 병화에게 기토는 나름의 챌린지로서의 의미가 강하지만, 재성을 살리는 기능이 뛰어난 옥토(玉土)이기에 훌륭한 결과를 가져다줄 수 있는 매력적인 대상이기도 합니다. 
 
 
기토는 더욱이 보답을 잘하는 천간으로 태양의 입장에서 기토를 생한다는 것은 갑기합토와 토생금과 관련되기 쉽기 때문입니다. '열매를 향한 공들임'인 기토는 습기를 머금은 토양에 쬐는 햇살이니 생명력을 북돋웁니다. 기토는 병화의 보살핌을 받아 경금과 신금으로 되갚는 구조입니다. 사실 병화의 입장에서 더 많은 에너지를 소진한다는 논리는 부정확하며, 기토의 입장에서 병화의 생조가 탁월하게 발현된다고 이해하는 것이 더욱 적절합니다. 또 기토는 지지에 해수를 맞이할 수 있는 천간으로 병화의 삶을 풍요롭게 만듭니다. 
 
 

2-1. 결과

 
 

기토는 아주 자애롭고, 생명을 살리는 힘이 뛰어나니 이를 생하는 병화에게 인격적으로 풍성함이 따라 덕망이 있습니다. 다만 기토탁임이 되지 않아야 더욱 아름다운데요. 천간 임수와 거리를 두는 것이 기토와 임수가 뒤섞이지 않는 방법이 되겠습니다. 병화는 기토를 살리면서 경금을 얻어내는 그 과정에만 만족하여야 길합니다. 경금이 다시 임수로 이어지는 과정이 깔끔하게 이루어지는 데 어려움이 따르기 때문입니다. 기토탁임의 현상에 의하여 정에 연연하면서 일을 그르치기 쉬우며, 특히 겉으로 드러나는 큰 책임과 임무를 맡지 않는 것이 좋겠습니다. 다정한 것이 병이 되고, 심리적 우여곡절이 예상됩니다. 공적인 일을 처리해야 할 상황에 사적인 영역이 침범하여 일이 그릇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점에서 '자신의 헌신이 온 세상에 병화 인간의 이름을 크게 드러내기를 원하는 것'은 곧 기토탁임의 작용에 따라 명예가 손상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명예를 추구하는 대신 덕망이 있어 주변에 사람이 따르므로 사람을 능숙하게 다룰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이때 지지 신금(申金)사람을 관리하는 일과 관련이 깊으며, 기토에게 천을귀인 역할을 하기 때문에 병화가 인재를 적재적소에 사용하는 탁월함이 예상됩니다. 병화가 기토를 살리는 망극함과 기토가 지지의 경금인 신금을 살리는 살뜰함이 연쇄되어 결과물로 승부하는 영역에서 기쁜 일을 맛볼 수 있으니 과도한 책임과 거리를 두면서 현명한 처신을 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이러한 면에서 병화가 기토를 생하는 경우는 조직생활에서 아주 유리합니다. 
 
 
특히 기토는 겨울에도 장점을 발휘하는 천간인데요. 이러한 점에서 기토는 봄부터 가을, 그리고 겨울에도 활발한 작용력을 가지게 됩니다. 천간의 기토는 온도를 유지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서 병화를 바쁘게 만드는 데 그에 따라 결과도 따르니 기토를 생하는 병화는 체력 관리가 상당히 중요합니다. 이러한 점에서 지지의 병화를 생하는 나무인 인목이나 묘목이 있으면 좋습니다. 천간의 갑목은 갑기합토의 작용으로 일시적으로는 좋으나 길게 보았을 때 토양이 증식하여 일이 늘어나므로 병화의 입장에서 업무량이 느는 것과 같아 완전히 병화를 살린다고 보기에 무리가 따릅니다. 또 천간의 을목은 기토를 완전히 제압할 수 있고, 또 기토탁임의 작용력을 막을 수 있으므로 장점이 있지만, 병화의 덕망을 해칠 가능성이 있어 길하다고 보기만은 어렵습니다. 이러한 점에서 병화가 기토를 생하는 경우는 지지에 인목이나 을목을 만나는 것이 긍정적임을 알 수 있겠습니다. 기토의 작용을 실질적으로 조절하는 데 도움을 주기 때문입니다. 이외의 병화는 천간에 갑목이나 을목을 만나는 것이 좋겠습니다. 
 
 


 
 
오늘은 병화가 무토와 기토에서 어떠한 반응과 영향을 가지는 지 살펴보았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정화에 대한 이야기를 시작하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상 청련향이었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