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bservation/육십갑자의 관계성

천간론_정화_정무경 (4)_청련향

청련향 2023. 6. 20. 21:53
728x90
반응형
SMALL

 

 

丁戊庚

 

 

정화의 열기를 유지하는 무토는 경금의 발전에 필요하다. (Graham Hobster_Pixabay)

 

 

정화의 진가가 발휘되는 순간 가운데, 화련진금이 있습니다. 정화는 경금의 발전을 도와 가치를 높이는 역할을 훌륭하게 해냅니다. 이 둘은 함께하면 얻는 것이 있습니다. 정화의 관점에서 경금의 발전은 곧 금전적인 풍요입니다. 이러한 점으로 정화는 명예[壬水]와 합을 이루지만 삶의 질을 고려하였을 때, 경금이 갖추어짐이 긍정적입니다. 마치 실속이 갖추어져야 삶의 즐거움이 따르듯이요. 조금 더 구체적인 생활에 적용하여 이해할 경우 정화 일간에게 경금은 '일감'이자 '놀이'에 해당합니다. '의무와 책임'은 임수이고요. 정화는 본능적으로 관성이 지지에 자리한 해수를 달갑게 여기지만은 않는다는 해석이 있는데요. 사람의 마음을 들여다보면 그 이유를 찾을 수 있습니다. 생물은 '의무'보다 '놀이'를 좋아하기 쉽습니다. 이러한 점으로 정화일간은 다른 일간에 비하여 합리적인 의무감을 가지기 쉬운 상태에 놓입니다. 관성과 합을 이루기 때문입니다. 

 

 

투박하지만 자신의 역할을 드높여주는 경금은 정화에게 반가운 대상입니다. 재성이기에 윗사람이 아닌 아랫사람이며, 정화가 지닌 훌륭한 지도력을 발휘하도록 이끌어주므로 정화의 능력을 돋보이게 만듭니다. 그러나 정화는 집중적이며, 또 인공적인 불이기에 연료가 공급되어야 열정을 이어갈 수 있습니다. 바로 이러한 점이 병화와 정화의 구분점입니다. 사람으로 보았을 때 학위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직업군이 있지요. 정화를 관으로 사용하거나, 정화 일간이라면 학위, 즉 인성에 따른 보탬이 따라야 원하는 것을 성취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정화는 병화와 같이 보편적인 것이 아니라 나름의 특수성이 보장된 희귀함이 있어 해당 분야의 인정이 요구됩니다. 정화의 인성으로 갑목(甲木)과 을목(乙木)을 들 수 있겠습니다. * 정화는 경금을 극하고 다루면서 무토를 넓혀 갑니다. 결과적으로 무토는 단련된 경금에게 발전, 휴식, 배움 그리고 울타리를 줍니다.  

 

 


 

* 갑목과 을목의 식상으로 병화와 정화가 있습니다. 그러나 관점을 달리하여 정화의 입장에서 보면, 갑목과 을목은 인성이 됩니다. 갑목과 을목이 정화를 돕는 방식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먼저 갑목은 정화를 전폭적으로 지지하지만, 트리거를 이끄는 데는 아쉬운 점이 있습니다. 교묘함은 을목이 갑목을 앞서기 때문입니다. 이상적인 구조는 목이 정화에게 정신적인 감화를 준 뒤 갑목으로 지구력을 높이는 것입니다. 이러한 부분과 연계된 사실로 정화일간일지에 을목인 묘목을 맞이할 수 있지만, 갑목인 인목을 일지로 둘 수 없습니다. 이러한 점은 내 삶의 가장 긴요한 곳에 둘 수 없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포인트는 앞으로도 여러 번 언급드릴 부분이오니 기억해 주신다면 좋겠습니다.

 

 

1. 봄-여름-가을의 정화 : (壬) - (癸) - (乙)

 

 

여러 합작용이 어우러지는 가운데, 정화는 임수와 합을 이루며 발생하는 일부 갑목의 도움을 얻어 저돌적인 모습이 두드러지게 됩니다. 관성과 합작용이 활발한 만큼 명예로운 일에 따른 공로도 발생하는 순조로움이 있으나 귀함을 얻기에는 시기상조입니다. 식상이 발달하기 쉽기 때문이며, 스스로 직접 나서서 해결해야 할 일이 많으니 그에 따라 능력도 발달하는 흐름입니다. 일복이 많은 정화는 무토를 생하는 데 무리가 없으며, 꽃의 열매인 경금을 맺는 데 아주 자연스럽습니다. 활동에 따른 결과가 많으나 하나에 집중하는 데는 어려움이 생길 수 있으니 병화의 성격이 일부 보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병화와 정화는 다릅니다. 정화에게 집중력이 있다면, 병화는 장악력이 있습니다. 정화는 인성이 발달한 경우가 아니라면, 재성이 많아지는 것이 반가운 상황은 아닙니다. 재성이 많다면, 나와 동일한 입장에 해당하는 비견이 필요합니다. 특히 봄과 여름에 태어난 정화는 대규모의 경금을 감당할 수 있는 지구력이 있습니다. 그러나 가을의 정화의 경우는 중첩되는 것이 반갑지만은 않습니다. 지지에 식상이 뒷받침되는 경우가 아니라면 더욱 그러합니다. 

 

 

그렇지만 가을의 정화는 천간에 경금이 있을 경우 지지에서 신금(申金)이나 유금(酉金)과 만나 욕구와 여건이 맞아떨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운기를 잡을 경우 커다란 재물의 성취를 이룰 수 있습니다. 가을 생 정화는 재물에 대한 감각을 다른 정화들보다 빠르게 익힙니다. 이러한 여건과 기회가 만나 이루어지는 결과는 지지에 재성이 갖추어지지 않은 경우와 다릅니다. 반면 봄, 여름 생 정화가 재물에 대한 접근하는 방식은 자기중심적입니다. 자신감을 갖추어 활발하고 에너지가 강하지만, 재성보다 자신을 우선시하는 점이 내재되어 있기 때문식상이 있을 경우를 제외하면 재물의 성취가 크게 따르는 데 한계가 있습니다. 그러나 신강(身强)이기 쉬운 구조를 타고나기 때문에 재물을 강하게 끌어당길 수 있겠습니다. 

 

 

1-1. 결과 : - (癸) ➡️ 辛 -  丁 (戊 (癸))

 

 

정화의 작용력을 받아 완전히 익은 과실은 더 이상 경금이 아닙니다. 이때 기억할 사실은 경금은 신금이 될 수 있지만, 신금은 경금이 될 수 없다는 점입니다. 만물은 탄생, 성숙, 소멸 등을 거치면서 앞으로 나아가면 순환할 뿐 후퇴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반드시 을 필요로 합니다. 이때 다음 단계를 향한 디딤돌의 역할을 하는 중간자가 바로 토(土)입니다. 정화의 아웃풋이자 능력인 흙은 다음 단계를 준비하는 경금이자 신금에게 지지와 격려가 됩니다. 경금이던 순간에 편인이던 무토가 신금이 되니 정인으로 바뀝니다. 일시적이던 문서가 안정적인 문서로 바뀐 것입니다. 바른 자격이 갖추어진 신금은 자신의 능력을 펼치기 시작합니다. 이때 발산하기 쉬운 것은 무토와 합을 이루는 계수입니다. 신금이 발산하는 계수는 잘 익은 열매에 맺힌 이슬을 떠오르게 합니다. 이때 흥미로운 사실은 신금에게는 정화의 에너지가 부담스럽다는 것입니다. 도리어 신금을 손상시킬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신금에게 나름의 챌린지를 제공하고 발전의 기회를 주는 사실은 변함이 없겠습니다. 

 

 

2. 겨울의 정화 : (亥子丑)

 

 

겨울의 정화는 열기이자 빛이기에 다양한 가능성을 가집니다. 봄부터 가을까지의 맹렬함은 부족하지만, 아름답고 영롱하게 빛을 반사하는 미묘함이 있어 귀함을 얻기 수월합니다. 특히 겨울의 정화는 병화가 약해지는 시기로 그 쓰임이 귀중한데요. 겨울의 생명을 보호하고 지키는 집중적인 에너지가 바로 정화이기 때문입니다. 정화는 고요하고 밝으나 특유의 맹렬함을 지니는 데, 바로 이 점이 생명에너지 가운데 돌파력인 갑목과 만나 양(陽)이라 불리는 영역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물론 병화가 지닌 양기와 구분되어 그 규모가 작지만, 일지에 해수(亥水)를 맞이할 수 있는 화(火) 일간이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큽니다. 정화는 환경을 극복하는 에너지가 응집되어 있고, 이는 곧 겨울의 화련진금 현상으로 이어집니다. 겨울은 대기의 수분이 대부분 땅 밑으로 숨어드는 경우가 많습니다. 천간에 계수가 갖추어지지 않은 경우라면 더욱 건조할 수 있는 환경입니다. 이러한 점에 따라 정화는 주목받는 와중에 경금을 단련하는 것이 되고, 경금은 극치를 지나 신약 하면서 동시에 노련한 상황입니다. 

 

 

즉, 경금이 주도권을 쥐기 쉽습니다. 특히 지지에 해수나 자수가 자리하고 있다면 경금의 발언권이 확보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봄-가을의 화련진금과는 결이 다릅니다. 전자가 전통적인 방식이라면, 후자는 세련미를 갖춘 미묘함이 있습니다. 정화의 관점에는 후자가 조화가 이루어질 경우 관운과 자식운이 더욱 따릅니다. 그러나 손쉽지 않아서 발생하는 고심과 노력이 있습니다. 정화에게 챌린지가 되는 경우에 처하는 것입니다. 긍정적인 점에 집중해 보면, 정화와 경금 모두 성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만 정화 혹은 경금이 신강하고 자기본위적인 면이 강하다면 마찰이 예상됩니다. 정화는 극을 받으면 더욱 맹렬해지는 특성이 있어서 조후(調候)가 상당히 중요한 시점이기 때문입니다. 

 

 

2-1. 결과 : - -  

 

 

봄-가을의 경우보다는 더디게 이루어집니다. 정신적인 부분도 두드러집니다. 그 상태가 오래도록 유지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한꺼번에 많은 것을 하는 시점이 아니며, 차근차근 진행하는 프로젝트에 가깝습니다. 조심스럽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점에 따라 경금이 신금으로 탈바꿈되는 급진적인 변화는 드뭅니다만, 정화에 의하여 더욱 가치가 높은 경금으로 거듭납니다. 특히 경금과 정화가 서로 은인이 되는 시절입니다. 정화가 형성한 무토는 겨울의 경금에게 큰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이때 시지에서 정화를 지지하는 글자가 오면 더욱 긍정적입니다. 정화에게 직접적으로 에너지를 공급하는 인목, 묘목, 아니면 사화, 오화 등으로 정화를 지지해 줄 수 있다면 겨울에도 원활히 화련진금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봄-가을의 화련진금과 성격이 다를 뿐입니다. 일반적인 화련진금과 구분되기에 드물고, 드물기 때문에 희소성이 있으니 가치가 높습니다. 특히 겨울의 경금이 봄을 향하여 나아감에 따라 정화는 자연스럽게 기운을 얻게 됩니다. 즉, 겨울의 화련진금은 정화의 근면함과 책임감으로 공로를 인정받게 되는 흐름입니다. 

 

 


 

 

오늘은 정화, 무토, 경금의 작용을 이야기하였는데요. 

 

 

추후 공부를 더하여 보강할 예정이니 기대해 주시면 좋겠어요.

 

 

이상 청련향이었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