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tation Note/🧚♀️ 마음 공부 기록 🧘
-
마음 공부 기록_화두_삶의 아름다움을 만끽하기 위하여 (2)_청련향Meditation Note/🧚♀️ 마음 공부 기록 🧘 2023. 12. 22. 22:09
🙃 아름다움의 인풋(INPUT)과 아웃풋(OUTPUT)이 무엇일까? 가장 건강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예술행위를 아름다움의 아웃풋이라고 볼 수 있다면, 이 아웃풋에 예술의 주체가 지닌 아름다움에 대한 다양한 생각과 의견이 버무려지기 마련입니다. 생명체가 내뿜는 물질은 해당 생명체가 지닌 순환원리와 시스템에 따라 구분되기 때문입니다. 이를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내부의 흐름으로서의 '앎'과 나아가고 싶은 방향에 근거한 '행위'로 나누어 정리하고자 합니다. 1. 앎 🧠 자양분 역할 [내적/음] 삶의 방향을 결정하는 보이지 않는 힘 [내적/음] 행위를 조절할 수 있는 틀 [브레이크] 행위를 확장하기 위한 원동력 [충전] 일간과 합[음-양]을 이루면 정인/ 충[양-양/ 음-음]을 이루면 편인 [특징] 1. 나의 의..
-
마음 공부 기록_화두_삶의 아름다움을 만끽하기 위하여 (1)_청련향Meditation Note/🧚♀️ 마음 공부 기록 🧘 2023. 10. 10. 20:16
🙃 진실한 '자신'으로 살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아름답다'라는 건 곧 '나'다운 것이지요. 그렇다면 '나'가 무엇인지 궁금하기 마련인데요. 바로 가장 자신이 건강할 수 있는 상태에서 항상성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늘 건강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그렇지만 자신의 건강한 상태가 어떤 모습인지, 그리고 어떻게 하면 이를 이룰 수 있는지 알고 실천하는 것은 자연스럽습니다. 즉, 자신의 생명력을 방해하는 것을 제거할 필요가 있습니다. 결국 독을 가까이하지 않고, 독을 먹지 않으며, 독을 기르지 않는 것입니다. 자신과 주변의 불순물을 제거하고, 자신의 능력을 쌓는 것입니다. 삶이 늘 여행임을 잊지 않는다면, 욕심을 부리면서 본질을 잃지 않을 테지요. 꼭 자신에게 필요한 것을 감식하는 것이지요. 본질에 의한..
-
마음 공부 기록_화두_삶의 기쁨을 위하여 (3)_청련향Meditation Note/🧚♀️ 마음 공부 기록 🧘 2023. 8. 3. 23:53
🙃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하여 염두에 둘 점이 무엇일까? 매일 밤 해오던 기도가 피로하다면, 스스로 바라는 것이 무엇인지 다시 생각해 볼 시기가 온 것입니다. 무뎌진 바람은 내면의 힘을 불러일으키는 데 한계가 있습니다. 아침에 기분 좋게 이부자리를 박차는 이유는 누워있기 싫고 행동하고 싶기 때문입니다. 이는 원하는 결과를 이루고 싶기 때문일 것입니다. 간절히 원하는 것을 찾고, 또 인식하려는 의지는 삶의 원동력을 구하고자 하는 것과 같지요. 그리고 일의 성취에는 적절한 방법이 필요합니다. 이때 결과를 결정하는 것이 '무엇'인지 인식한다면, 일의 단계를 읽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의 삶은 자신의 강력한 의지로 하루하루 열심히 산다고 하여도, 이를 뛰어넘는 변수가 따르기 마련인데요. 특히 자신 이외의 대..
-
마음 공부 기록_화두_삶의 기쁨을 위하여 (2)_청련향Meditation Note/🧚♀️ 마음 공부 기록 🧘 2023. 5. 1. 18:42
🙃 걱정과 우울감을 버리는 방법으로 무엇이 있는가? 걱정과 우울감은 들뜨는 마음을 차분하게 만들곤 합니다. 그러나 우리가 우려하는 것은 이를 조절할 수 없게 되는 상황일 것입니다. 사람이 마음의 주인이 되는 것이 아니라, 마음에 휘둘려 자신의 행동에 따라 원하지 않는 결과를 얻게 되면, 그 사람의 괴로움은 더욱 커질 것입니다. 사람의 감정은 소중하고 민감한 것이지요. 그러나 이것이 사람의 인격을 존중하는 도구로 사용되어야 할 뿐입니다. '걱정과 우울함'이 사람을 해쳐서는 안 됩니다. 걱정의 원인은 불확실성 때문입니다. 우울감의 원인은 자신감과 자존감 부족에서 시작될 가능성이 큽니다. 이때 나를 향한 '믿음[信]'이 도움이 됩니다. 그러나 '타자(他者)'를 향한 믿음이어서는 안 됩니다. '나'를 제외한 모..
-
마음 공부 기록_화두_삶의 기쁨을 위하여 (1)_청련향Meditation Note/🧚♀️ 마음 공부 기록 🧘 2023. 4. 20. 11:28
🙃 삶은 무엇으로 재미있고 기쁜 가? 놀이 없이 도무지 살 수 없을 만큼, 사람의 두뇌는 새로운 자극을 원합니다. 그러나 자극을 외부에서 찾는 것은 한계가 있으며, 늘 해낼 수 있는 것이 아닐지 모릅니다. 🎀 그렇다면 언제라도 재미있고 기쁠 수는 없는 것일까요? '나'는 홀로 있을 때에 '나'와 만날 수 있습니다. 자신을 알아가고, 발전시키는 것만큼 귀중하고 즐거운 경험은 드뭅니다. 그리고 '나'와 비슷한 사람과 시간을 보내려고 '나'를 닮은 친구를 찾게 될 것입니다. 우선 자신의 명확한 취향을 알고 친구를 만나는 것이 좋습니다. 물론 친구와 만나고 부대끼면서 자신의 취향을 알아갈 수도 있겠지요. 그러나 마음의 상처를 받을 각오를 잊지 않아야 할 것입니다. 거칠고 무례한 사람에게 손쉽게 상처를 받는 것이..
-
마음 공부 기록_화두_나의 잠재력 활용 (3)_청련향Meditation Note/🧚♀️ 마음 공부 기록 🧘 2023. 4. 11. 10:42
🙃 삼독(三毒)을 멸하며 자신의 영역을 넓히는 방법으로 무엇이 있을까? 붓다의 가르침 가운데 삼독을 멸한다는 부분이 있습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6527 삼독(三毒)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aks.ac.kr 이는 마음이 독이 되는 순간을 알아차린 결과입니다. 독은 생명체에게 악영향을 줍니다. 우리는 생명체로써 죽음이 정해져 있으나 사는 동안의 고통을 원하지 않습니다. 결국 괴로운 마음은 자신이 원하는 삶을 사는 데 방해가 될 것이 분명하고요. 우리는 개개인마다 나아가고 싶은 방향과 멀리하고 싶은 방향이 분명히 있을 것입니다. 이러한 점에서 독을 멀리하고 바름을 가까이하라는 말은 오늘날 다시 꼼꼼하게 되짚어 볼 ..
-
마음 공부 기록_화두_'나'의 잠재력 활용 (2)_청련향Meditation Note/🧚♀️ 마음 공부 기록 🧘 2023. 3. 5. 18:10
🙃 사랑과 지혜를 유지하는 방법으로 무엇이 있을까? 사랑은 지혜를 도구로 단단히 성장할 수 있습니다. 적어도 그 사랑이 당사자와 연결되어 발전하는 미래를 볼 수 있는 경우만요. 미래를 보는 것은 실은 누구나 속으로 하고 있는 행위입니다만 정확하게 보는 것은 소수가 해냅니다. 이렇듯 상황은 간단하게 정리하여 이해하는 것이 쉽지 않은데요. 이러한 점에서 미래를 예측하는 건 어려운 일이겠습니다. 어려우니 공급이 적고 상대적으로 수요가 큽니다. 두려움은 미래를 알고 싶은 동기가 됩니다. 그렇지만 두려움은 사랑에 반드시 도움이 되는 것이 아닙니다. 두려움은 사람의 감각기관을 위축시키고, 활동 영역을 제한합니다. 그러나 사랑은 자신 및 타인과 교류하고 더 나아가 정신적으로 결속되는 차원 높은 활동입니다. 또 사랑은..
-
마음 공부 기록_화두_'나'의 잠재력 활용 (1)_청련향Meditation Note/🧚♀️ 마음 공부 기록 🧘 2023. 2. 19. 17:52
🙃 나를 확장하는 구체적인 방법으로 무엇이 있을까? '나를 확장한다'라는 건 자신을 제한하거나 절제하는 것이 아닙니다. 우선 축적이 필요할 것입니다. 확장은 일종의 변화인데, 축적 없이 변화가 이루어지기는 힘듭니다. '나'라는 사람은 주변의 환경과 반응을 가진 생명체입니다. 이러한 점에서 '나'를 확장하려면 자신에게 적합한 주변과 울타리를 알아차려야 하겠습니다. 자신이 태어난 곳이 아닌, 자신의 마음을 먹이고 입혀주는 고향은 어디입니까. 자신을 기르고, 보살피는 곳이 어디입니까. 사람이거나 장소이거나, 혹은 감정 상태일지도 모릅니다. 거짓된 사람은 이곳을 평생토록 찾지 못할 것입니다. 그곳을 찾는 다면, 그곳이 바로 자신의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는 곳입니다. 까다롭지 않다면, 자신이 접하는 모든 삶의 장..
-
마음 공부 기록_화두_축적과 성실함 (3)_청련향Meditation Note/🧚♀️ 마음 공부 기록 🧘 2023. 2. 10. 11:37
🙃 '나'에게 올바른 삶의 방향을 찾는 방법이 무엇일까? 먼저 '나'라는 것의 실체가 없다는 점을 떠올릴 필요가 있겠습니다. 그렇지만, 나는 나의 주변 환경과 입자에 반응하면서 삶의 장면을 만들어갑니다. 또 나의 정신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인상과 느낌을 달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점에서 온전히 경험에 의존하는 사고방식은 결함이 있습니다. 반면 '철저히 자신을 관통하는 무언가'를 찾는 것은 끊임없이 자신을 성찰하도록 하지요. 명리학을 공부하다 보면, 인생의 환경이 10년 단위로 바뀜을 알 수 있는데요. 즉, 내가 70년을 산다면 7가지의 자신, 혹은 14가지의 자신을 관찰할 수 있을 것입니다. (10년은 다시 5년을 2마디로 나누어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변화하는 자신의 여러 모습을 그대로 인정..
-
마음 공부 기록_화두_축적과 성실함 (2)_청련향Meditation Note/🧚♀️ 마음 공부 기록 🧘 2023. 2. 1. 23:13
🙃 반복을 견디는 비결은 과연 무엇일까? 반복은 우리를 익숙하게 만듭니다. 반복적으로 해온 일은 더 이상 어렵지 않게 여겨집니다. 그러나 반복은 지루함이 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반복은 쉬운 일이거나 아주 어려운 일입니다. 사람마다 성격과 마음가짐, 우선으로 여기는 가치가 다릅니다. 이에 따라 반복을 즐기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이 구분될 것입니다. 반복은 필연적이지만, 그렇지 않기도 합니다. 오늘의 자신이 비슷한 행동을 하는 것이 과연 어제의 자신과 동일할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결국 반복은 나의 알음알이로 만든 헛 것입니다. 완벽하게 동일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없습니다. 따라서 매일, 하루 하루가 모두 다릅니다. 반복되지 않습니다. 다만 자신이 유지하려는 마음가짐은 비교적 반복될지 모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