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2 청자 죽순모양 주전자_청련향Art/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 감상 2022. 12. 11. 20:25728x90반응형SMALL
#2
청자 죽순모양 주전자
우리의 신체를 구성하는 '수분'은 건강을 유지하는 데 큰 역할을 하는데요. 따라서 시원하고 맑은 음료를 마시는 건 보약과 같을 때가 많습니다. 건강한 인생은 곧 즐거운 인생과 같다고 말할 수 있을 정도로, 우리에게 건강은 중요합니다. 이때 아름다운 주전자로 음료를 마신다면 더할 나위 없이 좋을 것 같습니다. 이러한 욕망이 반영된 뛰어난 청자 주전자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눈 깜짝할 사이에 성큼성큼 자란다는 '죽순'을 표현한.
바로 청자 죽순모양 주전자입니다.
*****보기만 해도 청량감이 느껴지는 탁월한 고안이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
다른 명칭 보물 청자 죽순형 주전자(2017), 靑磁竹筍形注子
국적/시대 한국 - 고려
출토지 경기도 - 개성 부근
재질 도자기 - 청자
분류 식생활 - 음식기 - 음식 - 주전자
크기 높이 19.2cm, 뚜껑 높이 6.7cm, 입지름 3cm, 지름 1.6cm, 몸통지름 15cm, 바닥지름 7.6cm,
최대 지름 6cm, 굽 높이 0.2cm
지정문화재 보물
소장품 번호 덕수 4499고려청자의 아름다움을 뽐내는 자태가 시선을 사로잡습니다. 실루엣과 디테일 모두 세심하게 제작되었음을 짐작하게 합니다. 죽순의 끝에 말린 모서리가 부드럽게 아래로 흐르는 재치 있는 표현도 보이고요. 몸체가 죽순임을 명확하게 보여주고자 주전자의 손잡이에 구부러진 대나무 형상을 나타냈네요. 주전자의 몸체는 자칫하면 연꽃 봉오리처럼 보일 수도 있을 만큼 급한 경사로 하부가 부풀어 오른 모습이기 때문에, 죽순임을 강조하려던 제작자의 생각을 읽을 수 있습니다. 또 세부 장식으로 대나무 잎을 잊지 않았는데요. 주전자를 사용할 때 마찰이 강하게 전달되거나, 형태면에서 깊은 골짜기를 형성하는 부분에 점토를 덧대는 방식으로 댓잎을 나타낸 점이 인상 깊습니다. 이는 주전자의 견고함을 살리고, 아름다움과 주제의식을 살린 '장인의 교묘함'을 보여주기 때문입니다. 또 죽순의 하부에 자리한 가로 주름을 주전자의 굽 부분에 표현하였는데요. 치밀하고 정교한 미감이 존경스럽습니다.
그렇다면 대나무는 우리에게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
고려시대는 무신정변을 중심으로 이전을 전기, 그 이후를 후기로 나누죠. 글쓴이는 위의 주전자가 귀족문화가 발달하였던 시기였던 고려 전기의 작품이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고려 후기의 무인이 즐기던 문화와 차이가 있어 보이기 때문입니다. 고려 후기에 대표적인 청자는 상감 무늬 매병입니다. 위의 주전자와 상반된 미감임을 유추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차를 즐기던 고려 전기의 귀족문화와도 관련이 깊어 보이고요. 따라서 위의 주전자는 우리가 차를 즐기는 이유와 대나무의 특성과 관련지어 이해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차를 마시는 이유는 정신을 맑게 하고, 식사 후의 구취를 제거하는 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습니다. 또 건강을 목적으로 마십니다. 귀족들의 기름진 식사를 보완해주는 점에 따라 보약으로 여겨졌을지도 모를 일이죠. 따라서 '수명장수'의 키워드와 연관 지어 이해할 수 있겠습니다.
대나무의 특성은 어떠한가요? 쉽게 죽지 않고, 성장하는 생명력이 있죠. 이를 완벽하게 보여주는 것이 바로 '죽순'입니다. 대나무 숲을 가보신 분들은 죽순이 빠르게 자라나는 걸 목격하셨을 텐데요. 당시 귀족들은 이토록 생생한 대나무의 활력을 몹시 탐하였을 것으로 보입니다. 즐거움으로 가득한 귀족들은 그들의 삶이 오래도록 지속되기를 바랐고, 이러한 바람이 반영된 죽순 모양의 주전자가 탄생하였을 가능성이 있습니다.어쩌면 죽순처럼 빠르게 그들의 학문이 일취월장하기를 바라던 학생이
공부하면서 마실 차를 담았던 주전자였을 수도 있겠습니다. 🤔
오늘은 고려시대의 우아한 청자 죽순모양 주전자에 대한 감상을 나누어 보았습니다.
다음에도 흥미로운 예술 작품과 유물을 찾아내고 꼼꼼히 살펴 읽어보겠습니다.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상 청련향이었습니다.728x90반응형'Art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 감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6 화병_청련향 (6) 2023.01.23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5 백자 상감 모란 나비 무늬 편병_청련향 (2) 2023.01.03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4 삼족토기_청련향 (2) 2022.12.27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3 십이각모란 수복강녕문 호족반_청련향 (2) 2022.12.19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1 손자국 무늬 벽돌_청련향 (0) 2022.1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