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간론_경금_결정하는 판단력 (1)_청련향Observation/육십갑자의 관계성 2024. 5. 8. 00:21728x90반응형SMALL
庚
유연함을 찾기 힘든 바위는 잠재력이 남다르다 (Pexels_Pixabay) ㅇ 양(陽)
ㅇ 고경도(高硬度)
ㅇ 판단력
ㅇ 결단력
ㅇ 수렴(收斂)
ㅇ 결과 중시
ㅇ 분리
🙃 궁금 포인트 : 경금이 지닌 탁월함의 근원을 무엇으로 이해할 수 있을까?
뜨거운 더위에 기진맥진하는 와중에 우리가 찾는 것은 물입니다. 물은 물방울의 모임입니다. 그렇다면 물방울은 무엇으로부터 오는 것일까요? 기온 차이로 옵니다. 여름의 무더운 온도가 갑자기 불쑥 차가워지기 시작합니다. 가을의 시작입니다. 봄부터 여름으로 이어진 확장과 팽창은 수그러듭니다. 생명은 다소 서늘해진 아침과 밤을 인지하고, 자신을 보호하고자 단단한 외피를 만들기 시작합니다. 이 과정에서 활발하게 소통하던 수분과 열기는 단절될 수밖에 없습니다. 이어지던 것이 분리되고, 경계라고 부를 수 있는 영역이 발생합니다. 경금의 특성은 이러한 현상에서 관찰할 수 있습니다. 경금은 혼란스러운 상황을 갈무리할 수 있는 판단력을 타고나죠. 이는 곧 혼돈 속에서 실력을 발휘할 수 있다는 말이 됩니다. 그러므로 경금은 과묵하고 차분한 것을 편안하게 여길지라도 자신을 고립시키지 말고, 뜨거운 담론의 현장으로 자신을 배치해야 할 것입니다. 무토와 기토가 기른 경금은 균형 감각을 유지하면서 둘 중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입니다.
경금은 결정의 권한과 가까우며, 다른 천간에게 무뚝뚝하다는 인상을 줍니다. 본인의 의지와 무관하게 주변의 인물들과 거리를 두기 쉽습니다. 형평성을 유지하려는 나름의 방법입니다. 지지의 상태에 따라 다르겠으나, 경금은 결단력을 타고나니, 삶의 변화를 이끌어내는 힘을 가집니다. 이는 물론 양면성을 가집니다. 좋은 방향으로 나아가느냐, 혹은 그렇지 않느냐는 경금이 스스로 연습하고, 단련하는 판단력이 결정합니다. 그러므로 경금은 논리적이기 쉬우며 합의에 필요한 요건에 따라 결정하는 바를 이해하고자 노력합니다. 숙고하는 신중함을 가진 경금은 한 번 결정되면 대단한 추진력으로 결과가 나올 때까지 포기하지 않습니다. 결과를 중요하게 여기는 서구화된 현대 사회에서 사람을 설득하고 자신을 드러내는 데 유리한 역할을 하는 인자입니다. 이러한 경금의 탁월함은 용맹함에서 옵니다. 주변의 분위기에 휩쓸려서 판단력이 흐려지지 않습니다. 유연하지 못하지만, 흐지부지하지 않으며, 쉽게 돌아서지 못하지만, 자신의 사람과 영역을 버리지 않습니다. 그리고 봄과 여름이 펼친 성장과 온기를 오롯이 품어, 간직하고 보호합니다.
개성이 뚜렷한 경금의 이야기를 시작합니다.
다음 시간에도 만나요.
이상 청련향이었습니다.
728x90반응형'Observation > 육십갑자의 관계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간론_경금_경병충 (3)_청련향 (2) 2024.06.09 천간론_경금_을경합 (2)_청련향 (0) 2024.05.11 천간론_기토_인월 부터 축월까지 기토, 그리고 다른 천간이 바라본 기토 (5)_청련향 (0) 2024.04.13 천간론_기토_기토-병화-계수(기병계) (4)_청련향 (4) 2024.03.08 천간론_기토_기을충 (3)_청련향 (0) 2024.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