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간론_경금_을경합 (2)_청련향Observation/육십갑자의 관계성 2024. 5. 11. 00:12728x90반응형SMALL
乙庚合
경금의 입장에서 바라본 합작용
이끼로 바위는 하나가 된다 (Oleg Mityukhin_Pixabay) 경금에게 을목은 정재이며, 이는 노력으로 이루는 결과입니다. 그리고 빼앗기거나 잃어버리지 않도록 합 작용마저 이룹니다. 경금은 신금이 을목을 충하는 것을 보호하는 역할도 합니다. 편관을 용신으로 삼는 을목을 제외하고, 경금은 을목에게 의지처입니다. 을목은 갑목을 덮을 수 있지만, 갑목은 을목을 뒤덮지 못합니다. 다만 금(金)을 가진 갑목은 을목에 대한 결정권을 가지고요. 서로의 몫이 다릅니다. 을경합의 작용에서 경금의 역할은 갑목이 을목을 버리지 못하도록 설득하는 것입니다. 경금의 입장에서 편재와 정재는 함께 갈 수 있으니 [등라계갑] 본업을 유연하게 확장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말이지요. 단순히 을목과 경금이 합을 이루는 바를 논의하면, 경금은 비대해지고, 이는 곧 경금이 포용력을 가진다는 의미입니다. 병이 들었던 경금이라면 건강을 회복하는 모습도 볼 수 있고요. 자기본위적인 마음이 수그러들고 [기을충: 정재 극 정인], 신왕 또는 신강해지니. 더 큰 재물을 끌어올 수 있습니다. 다만 자신을 되돌아보고 [인성], 향상심을 갖추어야 할 것[관성]입니다. 이에 따라 경금은 정관인 정화를 가져야 자신의 부족한 점을 인정하고 발전합니다.
(을신충에 대한 내용은 아래의 글에서 읽으실 수 있습니다. 👇🏻)
2023.01.01 - [Observation/육십갑자의 관계성] - 천간론_을목_을신충 (3)_청련향
천간론_을목_을신충 (3)_청련향
乙辛沖 을신충의 작용은 뿌리가 살아있는지를 살핀 뒤 판단할 수 있습니다. 먼저 뿌리를 얻지 못한 을목이 처하는 을신충의 경우는 자신의 확장을 깨끗하게 포기하여야 함을 암시합니다. 도마
victorianile.tistory.com
을경합의 작용은 결국 경금에게 조후가 중요합니다. 을목은 습기를 머금은 식물이며, 그 자체로 메마른 장작의 역할을 하여 관을 생하는 형태가 아니니 업무의 강도가 높지 않은 봉급생활[재성]입니다. 경금에게 체력적으로 무리가 되지 않는 일자리에서 꾸준한 수입을 얻는 것입니다. 그러나 경금은 자신의 한계를 시험하고, 성장할 수 있는 중강도 커리어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경금은 을목과 합을 이루어 자신이 건강해짐은 체감하지만, 성장한다는 느낌을 받는 것은 별개입니다. 따라서 관성을 용신으로 삼는 경금 일간이라면, 을목은 경금에게 삶의 단계는 될지라도 최종 목적이 되기에는 부족함이 있습니다. 이때 아쉬운 점은 을목은 경우에 따라 경금이 관성을 추구하는 것을 방해한다는 점입니다. 현실에 안주하도록 이끄는 유혹이죠. 필수는 아닙니다만, 경금은 화(火)를 만나 자신을 탈바꿈하고 다시 태어나는 것을 바라기 마련이고요. 따라서 을목은 경금의 회복에 쓰일 뿐, 또 삶의 일부일 뿐, 여정의 도착지는 아님을 경금과 을목은 인식할 필요가 있습니다. 열매를 기른 잎사귀는 결국 열매와 분리되고, 흙으로 돌아갑니다.
(을목의 관점에서 바라본 을경합은 아래의 글에서 살필 수 있습니다. 👇🏻)
2022.12.28 - [Observation/육십갑자의 관계성] - 천간론_을목_을경합 (2)_청련향
천간론_을목_을경합 (2)_청련향
乙庚合 여린 초목인 을목은 바위를 안식처로 삼곤 합니다. '구르는 돌에는 이끼가 안 낀다'라는 말이 있지만, 대부분의 돌은 늘 뒹구르르 구르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이끼가 끼어있는 모습을 쉽게
victorianile.tistory.com
🙃 궁금 포인트
: 을경합의 결과로 경금이 얻는 것과 잃는 것은 무엇인가?
경금은 을경합으로 건강, 협동의 맛과 네트워크를 얻습니다. 그리고 투지를 잃습니다. 물론 후자는 어떻게 대응하는지에 따라 잃지 않을 수도 있고요. 경금에게 투지[관]가 중요한 이유는 열매의 숙성[화생금]으로 종의 번식의 질이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경금이 여물어 감에 따라 발생하는 신금은 종자이며, 열매 그 자체는 경금입니다. 경금이 신금을 무력화한다는 의미는 보통 열매 안에 씨앗이 숨어 있으니 열매 그 자체가 결국 땅에 심어진다라는 말입니다. 종자는 신금이지만, 귀하게 여기는 것은 열매 그 자체가 되어 버리니까요. 을경합은 경금을 강화하므로 열매의 과육의 부피가 늘어나는 바와 연결됩니다. 경금이 병화와 정화로 숙성되면서 일부가 신금으로 변하는 작용이 활발하다면, 그 과실은 많은 씨앗을 품게 되어 번식력이 증가합니다. 이러한 점에 따라 을경합으로 경금이 얻는 바는 성장의 기반입니다. 커다란 안목으로 본다면, 을경합 역시 성장의 일부가 되겠습니다.
경금은 식신으로 에너지를 발산하면서 수생목 합니다. 자신의 능력과 재능을 기르며 이를 바탕으로 그 대가를 얻으니 식상생재의 원리지요. 을경합으로 비대해진 경금은 식상이 더 활발해질 수 있고, 이는 조후를 논의할 때 이에 따른 인성이 뒷받침되어야 마땅하다는 논리로 이어집니다. 천하장사라도 쉬어가면서 일을 해야 합니다. 따라서 경금은 을경합으로 돈 버는 재미에 푹 빠지게 되면서 건강을 누리지만, 일로 바빠 자신을 되돌아보고 삶의 의미를 곱씹는 데 시간을 할애하기 어렵게 됩니다. 후자가 따라 주어야 결국 경금은 스스로 긍지를 얻고 투지로 삶의 도전을 이어갑니다. 그렇지만 삶은 본디 완전하게 보이지 않지만, 보이지 않은 구석에서는 훌륭한 질서를 지니지요. 경금은 아래의 글과 같이 갑목을 이기고, 정화를 바탕으로 성장합니다.
2022.12.12 - [Observation/육십갑자의 관계성] - 천간론_갑목(甲木)_갑경충(甲庚沖) (3)_청련향
천간론_갑목(甲木)_갑경충(甲庚沖) (3)_청련향
甲庚沖 갑경충의 작용은 '연결되었던 것을 단절'하는 것입니다. 새로운 부서로 발령받는 등의 급격한 변화를 설명하는 공식입니다. 나무는 계절을 오롯이 보여주는 생물입니다. 매년 반복되는
victorianile.tistory.com
2022.12.18 - [Observation/육십갑자의 관계성] - 천간론_갑목(甲木)_갑경정(甲庚丁) (4)_청련향
천간론_갑목(甲木)_갑경정(甲庚丁) (4)_청련향
갑경정(甲庚丁) 갑목의 입장에서 편관을 상관으로 제압한다는 의미를 가진 갑경정은 그 자체로 훌륭한 구조를 형성합니다. 시작의 갑목, 극치의 정화, 단절과 결단성의 경금이 모여 중요한 사건
victorianile.tistory.com
2023.06.20 - [Observation/육십갑자의 관계성] - 천간론_정화_정무경 (4)_청련향
천간론_정화_정무경 (4)_청련향
丁戊庚 정화의 진가가 발휘되는 순간 가운데, 화련진금이 있습니다. 정화는 경금의 발전을 도와 가치를 높이는 역할을 훌륭하게 해냅니다. 이 둘은 함께하면 얻는 것이 있습니다. 정화의 관점에
victorianile.tistory.com
을목과 경금은 서로에게 서로가 필요하기 때문에 합을 이룹니다. 그 기간의 길고 짧음과 무관하게요. 이 둘은 합을 이루는 순간만큼은 적군이 아니라 아군입니다. 협동하기를 명 받았습니다. 외부 요인이 바뀌면 결속은 깨집니다. 모든 건 영원하지 않으니까요. 이로써 을목은 희생이 되기 쉽지만, 긴 안목으로 바라보면 결국 서로를 위한 것입니다. 을목은 경금에서 출발하며, 경금은 을목으로 길러집니다.
다음 시간에는 병화가 경금을 어떻게 충, 극하는지 이야기하겠습니다.
이상 청련향이었습니다.
728x90반응형'Observation > 육십갑자의 관계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간론_경금_경금-무토-갑목(경무갑) (4)_청련향 (0) 2024.07.08 천간론_경금_경병충 (3)_청련향 (2) 2024.06.09 천간론_경금_결정하는 판단력 (1)_청련향 (0) 2024.05.08 천간론_기토_인월 부터 축월까지 기토, 그리고 다른 천간이 바라본 기토 (5)_청련향 (0) 2024.04.13 천간론_기토_기토-병화-계수(기병계) (4)_청련향 (4) 2024.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