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bservation/주역 64괘
-
주역 64괘_대유(大有) (14)_청련향Observation/주역 64괘 2023. 1. 30. 21:01
대유(大有) 👩🏫 통변 주역 64괘 가운데 대유 괘는 위로 리괘, 아래로 건괘가 자리한 모습입니다. 상괘와 하괘 모두 위를 향한다는 점이 동인 괘와 닮았습니다. 다만 리괘보다 양이 강한 건괘가 아래에 자리하고 있는 점이 두드러지는 모양새입니다. 이러한 점에서 소규모 집단이 그들이 소속된 대규모 집단에 대항하여 공동체에 변화를 불러올 가능성이 잠재되어 있습니다. 건괘는 리괘보다 부드러움은 부족하지만, 리괘를 압도하는 강력함을 가지기 때문이죠. 건괘는 강력한 양으로서 음을 끌어당기는 힘을 가지므로 음을 지닌 리괘를 건괘가 자리한 곳으로 다가오게끔 할 수 있는 것입니다. 위의 대유 괘는 음위인 2 위, 4 위, 6 위에 모두 양효가 자리하고 있어서 유연성이 고갈된 모습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음이 변화를 상징..
-
주역 64괘_동인(同人) (13)_청련향Observation/주역 64괘 2023. 1. 25. 22:06
동인(同人) 👩🏫 통변 주역 64괘 가운데 동인 괘는 위로 건괘, 아래로 리괘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건괘는 하늘, 리괘는 불로써 건괘와 리괘 모두 위로 향하는 성질을 지닙니다. 이러한 면에서 동인 괘는 건괘와 리괘가 동일하지 않지만, 같은 방향을 향하여 나아가는 괘임을 짐작할 수 있겠습니다. 먼저 음의 자리인 2위에 음효가 자리한 것을 제외하면 모두 양효로 이루어진 동인 괘는 음이 부족한데요. 4위와 6위에 양효가 보여 유연성이 부족한 모양새이며, 5위 즉 양위에 양효가 올바르게 자리하고 있더라도 그 주변에 그를 보필하는 인력이 겸손하지 않고 5위의 양효에 대한 예의가 적어 합을 이루지 못하는 점을 읽을 수 있지요. 먼저 리괘가 등장한 것은 처음이므로 리괘가 가진 특성을 고루 살피고자 합니다. 동인 괘..
-
주역 64괘_비(否) (12)_청련향Observation/주역 64괘 2023. 1. 17. 23:24
비(否) 👩🏫 통변 주역 64괘 가운데 비 괘는 건괘가 위로, 곤괘가 아래에 위치한 모습입니다. 건괘와 곤괘의 특성에 따라 건괘는 더욱 상승하고, 곤괘는 더욱 하강하여 건과 곤이 어울려 놀기 어려우니 갈등이 깊어지고 화합에 어려움을 겪습니다. 화합이 어려우니 발생한 문제 상황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이끌어가지 못합니다. 이러한 점에서 비 괘는 소통에 어려움을 겪으며, 흐르지 않고 막혀 답답한 상황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일종의 정체 상황으로 볼 수 있는데요. 막힘이 누적으로 이어져 변화를 만들게 되겠지요. 그러나 비 괘에서는 그 변화가 이루어지지 않으니 고통이 따릅니다. 이러한 상태가 지속되는 원인으로 2 위에 음효, 그리고 5위에 양효가 자리하여 상 괘와 하 괘 사이에 발생하는 합작용이 있습니다. 일정한 ..
-
주역 64괘_태(泰) (11)_청련향Observation/주역 64괘 2023. 1. 12. 22:08
태(泰) 👩🏫 통변 주역 64괘 가운데 태 괘는 위로 곤 괘, 아래로 건 괘가 자리하여 건과 곤이 만난 괘입니다. 위에 땅을 상징하는 곤 괘, 아래에 하늘을 상징하는 건 괘가 있어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하늘과 땅의 위치가 뒤바뀌어 있습니다. 뒤 바뀌어 있기 때문에 하늘의 상승하려는 성질, 땅의 하강하려는 성질이 교차할 수 있습니다. 교차하므로 소통에 유리하게 됩니다. 정적이지 않고, 동적이며 활발함이 있습니다. 건을 아버지, 곤을 어머니로 볼 경우, 활발하게 교류하는 부부관계입니다. 교류가 없는 경우보다 긍정적입니다. 그러니 길하다고 말할 수 있겠습니다. 또 양과 음이 균형을 이루어 순환 속에서 안정성이 보장됩니다. 다만 5 효, 즉 양위에 음효가, 2 효, 즉 음위에 양효가 자리하므로 약간의 변..
-
주역 64괘_이(履) (10)_청련향Observation/주역 64괘 2023. 1. 9. 21:05
이(履) 👩🏫 통변 주역 64괘 가운데 이 괘는 위로 건괘, 아래로 태괘가 자리합니다. 하늘과 닮은 건괘, 그리고 연못을 닮은 태괘가 위아래로 배치되어 안정적인 구조를 이루는 데요. 이때 우려되는 점은 소통의 문제 발생일 것입니다. 연못에 하늘의 모습이 투영되지만, 이 둘이 섞이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순환이 어려울 가능성이 있고, 정적인 상황이 지배적으로 보이지만, 약간의 변화와 운동성을 담고 있습니다. 또 양이 많고 음이 귀한 모습이라 음은 장려됩니다. 효를 살펴보면, 먼저 1 효, 3 효, 5 효 양위를 살펴보면 3 효에 음효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또 2 효, 4 효, 6 효인 음위에 모두 양효가 자리하고 있어서 기운이 다소 막힌 인상을 줍니다. 음으로써 움직이고 소통해야 할 곳이 양괘로 굳건하므..
-
주역, 그 자체에 대하여_청련향Observation/주역 64괘 2023. 1. 8. 16:55
🖤 주역 🖤 주역의 구성은 상경, 하경, 십익 그리고 해제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 가운데 상경과 하경은 64 괘를 하나씩 설명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십익의 경우는 다시 계사전과 설괘전, 서괘전, 잡괘전으로 나뉩니다. 이때 계사전은 상전과 하전으로 구분이 되고요. 상전 12장, 하전 12장으로 총 24장이 모인 것입니다. 특히 계사전의 총론에서 다음과 같은 구절이 보입니다. 繫辭本欲明易, 계사본은 역을 명확히 하려는 것으로, 若不先求卦義, 만약 먼저 괘의 뜻을 구하지 않는다면, 則看繫辭不得 원칙적으로 계사를 얻을 수 없다. 즉 괘를 먼저 읽은 뒤, 계사전을 읽는 것이 순서에 적합하다는 의미가 되겠습니다. 그렇지만 주역은 내용이 추상적이어서 감을 잡아서 이해하기에 어려움이 따릅니다. 이러한 점에서 본..
-
주역 64괘_소축(小畜) (9)_청련향Observation/주역 64괘 2023. 1. 2. 22:15
소축 (小畜) 👩🏫 통변 주역 64괘 가운데 소축괘는 위로 손괘, 아래로 건괘가 만난 것입니다. 손괘는 바람을 의미하는 것으로 메마른 건괘를 보완하기에 음이 부족합니다. 그렇지만 1, 3, 5위에 양효가, 4위에 음효가 제자리에 역할을 해내어 양기의 부족함이 없습니다. 다만 2위와 6위에 음효가 아닌 양효가 있어 양을 음으로 바꾸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겠습니다. 음을 추구하는 괘로 다양한 방법을 실험하는 모습과 닮았습니다. 한 가지 방법을 고집하지 않는 융통성을 발휘하고, 음의 고립을 해소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 음이 깨어지지 않도록 보호하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양은 현재 그의 역할을 잘 해내고 있으므로 양을 추구하는 것은 균형을 깨트리는 것입니다. 따라서 음을 위한 양의 배려가 필요하고, 음은 ..
-
주역 64괘_비(比) (8)_청련향Observation/주역 64괘 2022. 12. 30. 21:55
비 (比) 👩🏫 통변 주역 64괘 가운데 비괘는 위로 감괘, 아래로 곤괘가 만난 것입니다. 1위, 3위는 양위이지만 음효가 자리하여 아직 안정을 가지지 못하고 음효에서 양효를 향하여 가는 과정이자 단계입니다. 확정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그렇지만 5위의 경우 자리를 얻었습니다. 곧 올바른 자리에 올바른 조각이 맞추어져 그 상태가 유지되는 상태인데요. 특히 상괘의 중심, 즉 5위의 효가 의미하는 것이 집단의 지도자입니다. 양위에 양효가 자리한 것은 지도자의 자리와 입지가 견고하고, 리더십을 발휘하는 상태인 셈이에요. 다만 하괘에서 음을 통솔하는 양효가 보이지 않아 양의 입장에서 해내야 할 과제가 많은 모습이죠. 또 2위, 4위, 6위인 음위에 음효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점에서 음은 그의 역할은 안정..
-
주역 64괘_사(師) (7)_청련향Observation/주역 64괘 2022. 12. 26. 22:03
사(師) 👩🏫 통변 주역 64괘 가운데 사괘는 위로 곤괘, 아래로 감괘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지난 시간 송괘의 경우는 위로 건괘가 자리하고 있었지요. 사괘는 2위의 양효를 제외하면 모두 음효로 변화가 많은 상황 가운데 음효가 양효를 감싸고 있습니다. 이러한 점에서 감괘의 2위에 자리한 양효가 음효를 통솔하는 지도자로 보는 것입니다. 그러나 송 괘와 달리 의견의 일치를 이루는 모습입니다. 곤괘의 중심인 5위와 감괘의 중심인 2위가 음효와 양효로 합을 이루기 때문입니다. 합을 이루는 것은 여럿을 하나로 묶는 작용을 하는 데요. 마치 뜻을 모아 협동하려는 것과 같습니다. 그렇다면 이 사괘는 오늘날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까요? 글쓴이는 사 괘를 관찰하면서 너튜브 영상에 달린 댓글 가운데 몇몇 댓글에 좋아요가 ..
-
주역 64괘_송(訟) (6)_청련향Observation/주역 64괘 2022. 12. 24. 12:24
송(訟) 👩🏫 통변 주역의 64괘 가운데 송괘는 위로 건괘, 아래로 감괘로 구성됩니다. 마르고 굳건한 건괘와 움푹 파여 위험에 봉착할 수 있는 감괘는 다르지만 공통점이 있습니다. 바로 상괘와 하괘 모두 가운데에 양효가 자리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서로의 의견, 중심 등이 합을 이루지 못하는 모습입니다. 양과 양은 합하지 않고 충돌하기 때문입니다. 보통 개인의 권리가 충돌할 때 서로 합의가 되지 않는 경우, 우리는 소송을 고려하게 됩니다. 소송은 문제를 공론화하여 두루 살피어 결정을 내리는 목적이 있습니다. 결국 결정을 내리려는 마음가짐이 송사를 발생하도록 합니다. 송사는 하지 않는 것이 더욱 좋은 것입니다. 특히 개인의 권리를 침해한 자가 침해당한 사람에게 해당 부분에 대하여 보상을 하고, 용서를 구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