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역 64괘_고(蠱) (18)_청련향Observation/주역 64괘 2023. 2. 22. 18:41728x90반응형SMALL
고(蠱)
👩🏫 통변
주역 64괘 가운데 고 괘는 위로 간괘, 아래로 손괘가 자리하여 산 아랫자락에 바람이 부는 모습입니다. 바람에 산은 흔들리지 않습니다만, 산보다 작은 생명들은 바람에 흔들리므로 난관을 겪겠습니다. 특히 이러한 상황에서 산은 비타협적이라는 인상을 주는데요. 산이 무너지지 않음은 그 토양에 나무와 같은 생명이 터전 삼아 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산의 입장에서는 이러한 사실을 잊기 쉽습니다. 그러니 산은 쉽게 변하지 않습니다. 그 상태를 유지하는 것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니 변화를 꾀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면에서 안정감이 뛰어납니다. 그러나 세상은 늘 변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우리의 대응 방식은 약간의 변화를 겪기 마련이죠. 산을 의미하는 간 괘가 위에 자리하니 지도층이 그들의 기득권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일 뿐 개혁의지가 부족한 모습입니다. 바람을 의미하는 손 괘가 아래에 자리하니 그에 소속된 구성원들은 변화에 반응하지만, 쉽게 순응하는 온건함이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소통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니 위험합니다. 미래를 대비하는 일에 소홀해져 성장에 방해가 되어 정체되고, 그릇에 담긴 음식에 벌레가 꾀는 등 부패한다는 의미를 지닌 고 괘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위의 고 괘에서 제 역할을 하고 있는 효는 3 위의 양효와 4 위의 음효뿐입니다. 재빠르고 부지런하여야 마땅한 2 위의 음효는 보이지 않고, 뛰어나고 안정적이어야 할 5 위의 양효가 보이지 않으나 이 둘이 합을 이루니 부적절한 면에서 뜻이 통하는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서로의 본분을 잊고 임무에 소홀하니 흉합니다. 흉하니 이러한 상황을 타파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개혁을 주도하는 세력으로 3 위와 4 위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3위와 4 위는 서로 음과 양이기에 합을 이룰 수 있으니 뜻을 모아 협동하기에 적절한 조건을 갖추었습니다. 이러한 점에서 고 괘는 변화가 필요한 상황이며, 특히 구성원들이 합심하여 리더의 그릇됨을 교정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됩니다.
그렇다면 오늘날 고 괘를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까요?
집단 내부에서 비리가 발생하였습니다. 그들은 서로 뜻이 잘 맞았기 때문에 서로의 과실을 묵인합니다. 그러나 그 집단의 구성원들은 그 사실을 모를 리 없습니다. 구성원들을 리더들의 부정을 묵인하지 않습니다. 고발하거나 윤리위원회에 이 사실을 알립니다. 반발하는 구성원들의 수가 상당합니다. 합의 작용에 의하여 응집력을 지니기 때문입니다. 일정한 량의 밀도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괘의 3 위와 4 위는 중심에 자리하였습니다. 이를 근거로 중간 관리층으로 구성된 팀이 문제점을 고치기 위하여 집중하는 형상으로 풀이가 가능하겠습니다. 이때 부정은 거의 발생하지 않습니다. 각자 자신의 위치에 알맞은 임무를 수행하고 있는 것입니다. 제 위치, 제 자리에 있는 현상은 무질서함이 아니기에 올바른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 궁금 포인트
: 풀이 가운데 先甲三日 後甲三日, '갑 앞의 3일 갑 뒤의 3일'이라는 문장을 무슨 의미로 볼 수 있을까?
갑 앞의 3일은 신(辛), 임(壬), 계(癸)입니다. 그리고 갑 뒤의 3일은 을(乙), 병(丙), 정(丁)입니다. 신금과 임수, 그리고 계수의 조합, 그리고 을목과 병화, 그리고 정화의 조화를 삼기격으로 부르기도 하지요.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 갑 을 병으로 반복되는 십천간 가운데 정화와 신금은 음에 해당하여 그 에너지가 강렬하게 응축되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고 괘는 처한 상황을 타파해야 하는 임무가 있고, 정화나 신금과 같이 강렬한 에너지로 이 상황을 극복해야 한다는 의미로 볼 수 있겠습니다. 정화는 맹렬하게 개선하는 열정을 갖추고 있으며, 집중력이 뛰어나 하나에 일에 몰두하여 성과를 내는 현상과 인연이 있습니다. 그리고 신금은 불필요한 에너지가 횡적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중심부에 에너지를 집중하는 일에 관련이 있습니다. 위의 풀이에서 갑 앞의 3일을 언급하는 것이 먼저였습니다. 이러한 점에서 신금을 활용한 뒤 정화를 사용함을 알 수 있습니다.
갑이라는 글자는 우두머리와 관련이 있습니다. 갑목에게 신금은 정관이니 올바른 코치입니다. 신금은 갑목을 괴롭히는 경쟁자 을목을 물리쳐줍니다. 그리고 정화를 사용한다는 건 갑목이 능력을 발휘한다는 의미로 풀어볼 수 있습니다. 갑목에게 정화는 상관입니다. 상관은 편관을 제어할 수 있는 강력한 에너지 방출이니 침입자를 물리친다는 말입니다. 곧 경쟁자를 물리치고, 권력을 안정화할 수 있도록 하며, 외적의 침입으로부터 집단을 보호할 여건을 마련한다는 의미가 깃들어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 ͡• ͜ʖ ͡• )
👇 [참고할 수 있는 글]
2022.12.05 - [Observation/천간론과 지지론] - 천간론_갑목(甲木)_상승과 돌파의 운동성 (1)_청련향
천간론_갑목(甲木)_상승과 돌파의 운동성 (1)_청련향
甲 ○ 양(陽) ○ 기초적인 성장 ○ 스프링이 위로 튀어오르는 운동성 ○ 상승운동 ○ 수평운동 X 수직운동 O ○ 돌파력 🙃궁금 포인트 : 왜 천간론에서는 갑목을 가장 먼저 설명하는 가? 먼저 '갑'
victorianile.tistory.com
2023.01.01 - [Observation/천간론과 지지론] - 천간론_을목_을신충 (3)_청련향
천간론_을목_을신충 (3)_청련향
乙辛沖 을신충의 작용은 뿌리가 살아있는지를 살핀 뒤 판단할 수 있습니다. 먼저 뿌리를 얻지 못한 을목이 처하는 을신충의 경우는 자신의 확장을 깨끗하게 포기하여야 함을 암시합니다. 도마
victorianile.tistory.com
2022.12.18 - [Observation/천간론과 지지론] - 천간론_갑목(甲木)_갑경정(甲庚丁) (4)_청련향
천간론_갑목(甲木)_갑경정(甲庚丁) (4)_청련향
갑경정(甲庚丁) 갑목의 입장에서 편관을 상관으로 제압한다는 의미를 가진 갑경정은 그 자체로 훌륭한 구조를 형성합니다. 시작의 갑목, 극치의 정화, 단절과 결단성의 경금이 모여 중요한 사건
victorianile.tistory.com
🙃 흥미 포인트
: 풀이 가운데 不事王候 志可則也, '왕과 제후를 섬기지 않으니 그 뜻을 본받는 것이 가능하다'라는 문장을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까?
'왕과 제후를 섬기지 않는 이유'는 그 역할을 올바르게 해내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이부분에서 우리는 맹자의 역성혁명을 떠올려 볼 수 있겠습니다. 맹자는 군주의 권력을 맹목적으로 순응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하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맹자』의 다음 구절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齊宣王 問曰 湯 放桀 武王 伐紂 有諸
孟子 對曰 於傳 有之
曰 臣弑其君 可乎
曰 賊仁者 謂之賊 賊義者 謂之殘 殘賊之人
謂之一夫 聞誅一夫紂矣 未聞弑君也
인을 해치는 자라면 그를 군주로 보기 어렵고, 곧 일개 필부와 다름이 없다는 의견을 보이는 것인데요. 그 사람의 직위를 중시하는 것이 아니라 그 사람의 행동을 보는 것입니다. 사람은 사회를 이루어 살고 있고, 이러한 점은 사람 사이의 거리가 있음을 암시합니다. 사람 사이의 거리가 있으니 사람의 속마음은 알 수 없습니다. 그렇지만 비교적 명확한 것은 그 사람의 행위입니다. 물론 그 행위의 속사정을 알지 못하니 속단할 수는 없지만요. 여러 사람에게 영향을 미치는 책임감 있는 임무를 맡은 사람의 행위는 평범한 사람의 행위보다 엄격한 잣대로 살필 수밖에요. 리더의 자리가 가진 책임을 살필 수 있는 부분이네요. '그 뜻을 본받는 것'이 가능한 이유는 개혁을 주도하는 3 위와 4 위가 제 위치에 올바르게 행하니 모범이 되기 때문입니다. 이때 중요한 것은 '모범적'이라는 관념에 가두어지지 않는 것입니다. 세상에는 다양한 직업이 있고, 그 직업에 따라 직무가 다릅니다. 오늘날 '모범적'이라는 건 어쩌면 자신의 재능과 능력을 계속 기르며 경제생활을 해내는 것일지 모르겠습니다. 그렇지만 리더의 책임이 중요하다는 사실은 변하지 않겠습니다. ฅʕ•̫͡•ʔฅ
오늘은 강렬한 변화가 필요한 고 괘를 이야기하였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에도 만나요.
이상 청련향이었습니다.
728x90반응형'Observation > 주역 64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역 64괘_관(觀) (20)_청련향 (0) 2023.03.08 주역 64괘_림(臨) (19)_청련향 (0) 2023.03.02 주역 64괘_수(隨) (17)_청련향 (0) 2023.02.08 주역 64괘_예(豫) (16)_청련향 (4) 2023.02.05 주역 64괘_겸(謙) (15)_청련향 (6) 2023.0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