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간론_병화_병신합 (2)_청련향Observation/육십갑자의 관계성 2023. 1. 24. 15:17728x90반응형SMALL
丙辛合
병신합을 단편적으로 살필 수 있는 장면. 고드름이 태양빛에 녹아 물이 된다. (Photogragher Kati_Pixabay) 강렬한 빛을 발하는 병화는 단단하고 밀도 높은 신금(辛金)을 녹이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신금은 자신의 뛰어남이 세상에 드러나기를 원하는 데, 이를 돕는 것이 병화와 임수(壬水)입니다. 병화의 비밀 없는 투명한 점이 신금을 구체적으로 드러나도록 만드는 데, 이때 신금은 지저분한 먼지가 없어야 더욱 빛을 반사할 수 있습니다. 이때 신금을 깨끗하게 만드는 것이 임수입니다. 병화는 신금이 스스로 가꿀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됩니다. 병화는 신금을 다스리는 동시에 신금에게 충성하게 됩니다. 신금이 병화와 합을 이루면서, 병화에게 의무감, 자식, 직업, 결단력에 해당하는 임수를 발생시키기 때문입니다. 병화는 신금이 탄생시킨 임수에 의하여 신금에게 일부 다스림을 받습니다. 이러한 작용을 병신합이라고 부릅니다.
🙃 궁금 포인트
: 왜 병신합의 결과를 물로 보는 가?
병화는 지구상의 빛의 근원으로 수분의 증발에 기여합니다. 수분은 지구의 순환에서 귀중한 역할을 합니다. 지구에서 수분이 유지되는 원리를 단순하게 살피면, 눈이 녹아 물이 되어 바다로 흘러가고, 그 물이 다시 증발하여 구름이 되고, 구름이 비나 눈으로 내려 다시 물로 변화하는 반복입니다. 이 순환의 일부로 병신합 작용, 즉 설산의 눈과 고드름이 햇살에 녹아 계곡물로 흘러드는 것입니다. 이때 발생한 물은 민물로 흘러들어 사람이 음용하는 물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즉, 생태계의 여과과정을 거쳐 정화된 물일 가능성이 큽니다. 이러한 점에서 병신합으로 발생한 물은 계곡물, 담수, 즉 자수(子水)에 가깝습니다. 이런 면에서 육십갑자 가운데 임자(壬子)를 떠올릴 수 있습니다. 물론 원국을 전반적으로 살피는 과정이 요구됩니다.
병화의 기운, 즉 햇살이 지구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현상은 지구의 물질 가운데 신금과 합을 이루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또 충의 작용이 발생하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충과 합은 가장 눈에 띄는 작용력이며, 그 가운데 합의 작용은 제3의 물질의 발생으로 이어지기에 더욱 의미가 큽니다. 지구에 생명체가 살아갈 수 있는 환경은 적절한 수분과 온도가 유지되기 때문으로 볼 수 있는 데요. 생명체가 동적항상성을 유지하는 데 활용하는 방법은 혈액을 통하여 영양소를 운반하는 혈액순환입니다. 혈액은 수분을 필요로 하지요. 병신합의 결과로 물이 발생하는 원리는 곧 지구의 수분이 발생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현상이 관념화되어 용어로 굳어진 이유는 '물'을 귀중히 생각하는 가치판단이 내재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병신합의 결과로 수가 발생한다는 관념은 태양[丙火]과 열매이자 얼음[辛金]이 생명의 근원[물: 壬子]을 발생으로 이해되기에 충분합니다. 또 농업이 태양의 빛을 이용하여 식물의 광합성을 유도하고, 이에 따라 과실과 곡식을 거두는 행위였던 만큼 병신합수의 원리는 생존과 밀접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병신합을 다루었습니다. 😊
다음 시간에는 병임충을 다루겠습니다.
행복한 하루 되시기를 바랍니다. 💪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상 청련향이었습니다.
728x90반응형'Observation > 육십갑자의 관계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간론_병화_병화-무토-갑목(병무갑) (4)_청련향 (0) 2023.02.20 천간론_병화_병임충 (3)_청련향 (2) 2023.01.26 천간론_병화_자체 발광 핵심인물 (1)_청련향 (4) 2023.01.15 천간론_을목_을목-병화-정화(을병정) (5)_청련향 (2) 2023.01.10 천간론_을목_기토-계수-을목(기계을)(4)_청련향 (8) 2023.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