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간론_갑목(甲木)_상승과 돌파의 운동성 (1)_청련향Observation/육십갑자의 관계성 2022. 12. 5. 01:59728x90반응형SMALL
甲
Photogragher 김경복_Pixabay ○ 양(陽)
○ 기초적인 성장
○ 스프링이 위로 튀어오르는 운동성
○ 상승운동
○ 수평운동 X 수직운동 O
○ 돌파력
🙃궁금 포인트
: 왜 천간론에서는 갑목을 가장 먼저 설명하는 가?
먼저 '갑'을 목(木) 오행으로 배정한 이유를 생각해보았습니다. 목 오행을 전체 식물군으로 전제하고 논의해보겠습니다. 지구는 흙과 물이 뒤섞인 곳에 태양열과 빛으로 각종 식물과 생물이 살아가고 있지요. 그 가운데 사람은 동물로서 외부로부터 에너지원을 섭취하는 데 이를 식량이라고 부를 수 있겠습니다. 이때 식량을 식물과 동물로 단순히 나누어 본다면, 과연 어떤 것이 섭취하기에 용이하다고 볼 수 있을까요? 글쓴이는 식물이라고 생각합니다. 식물은 적어도 독이 든 것인지 아닌지 구분할 수 있다면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고, 사냥보다는 적은 에너지원을 사용하면서 열량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인류에게 식물이 가지는 의미는 각별할 것입니다. 갑을 천간의 첫째로 삼고, '우두머리'라는 가치가 부여된 것도 이러한 이유이지 않을까요. 우리는 가장 삶과 직결된 것을 우선시하므로. 그러나 갑목은 열매가 아니라 싹입니다. 싹을 틔우지 않는다면 열매를 얻을 수 없고, 열매가 없다면 싹을 틔울 수 없을 것입니다. 닭이 먼저인지 달걀이 먼저인지를 논하는 장면이 떠오르네요. (●'◡'●)
그러나 갑목을 우선시한 것으로 보입니다. 그 이유는 열매가 나무에서 열린다는 사실은 대단히 확실하고 보편적이며, 대다수의 원시인이 쉽게 발견할 만큼 명확한 일이지만, 열매에서 싹이 트는 것을 주의 깊게 바라보며 원리를 이해한 것은 농경을 시작한 신석기 이후로 추측되기 때문입니다. 알려진 바와 같이 글쓴이도 인류에게 있어서 농사보다 채집이 앞선다고 믿고 있습니다. 즉, 열매보다 나무가 먼저라는 생각을 하기가 더욱 쉬우리라 보이는 것이죠. 따라서 싹인 갑목을 열매인 경금보다 순서가 앞선다는 전제가 암시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흥미 포인트
: 식물의 가진 운동성과 내밀한 균형 (갑목 vs 을목)
식물은 열매의 영양분과 흙의 미네랄을 이용하여 뿌리가 가장 먼저 자라도록 합니다. 이는 에너지원을 얻는 통로를 가장 먼저 확보하는 것입니다. 에너지를 얻어서 다음 생장에 사용하기 위함이겠지요. 그리고 지구에 자리한 물질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기 위한 일종의 구조(보통 광합성 시스템)를 만들어내기 위한 기초작업 가운데 가장 유명한 것이 바로 뿌리라고 볼 수 있겠네요. 뿌리는 단단한 씨앗을 뚫고 나옵니다. 돌파합니다. 시작의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시작을 할 때의 마음을 떠올려보면 순수하게 신이 나 곤 합니다. 남다른 열정이 발휘되기도 하고, '초심자의 행운'이라는 말도 있을 정도죠. 천간의 갑목이라는 글자는 이러한 복합적인 것을 담고 있는 것입니다. 저는 개방적이고, 추진력을 가진 리더를 떠올리게 되네요. 반면 을목의 경우는 갑목의 다음 단계로 방법을 고민하는 단계입니다.어떻게 하면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이 두 분야를 연결할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위와 같은 질문을 하겠지요. 따라서 갑목이 기초이고, 을목은 기초를 바탕으로 한 발휘라고도 해석할 수 있겠습니다. 우리가 곱셈을 하기전에 덧셈과 뺄셈을 익히는 것과 같이 갑목은 '다짐'이 될 수 있겠습니다. 다만 갑목이 가진 단점으로 '마무리가 약함'이라고 보는 경우를 많이 보았습니다. 상식적으로 생각해보아도 결심이 많아지면 상대적으로 해내는 일은 적어질 수밖에요. 시간은 한정되어 있고, 우리의 체력은 유한하니까요! 그러나 사주의 원국에 마무리와 결실을 상징하는 금(金) 오행이 균형을 이룬다면 목표와 성취가 비례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도 있지요. 이렇듯 과한 기운의 균형을 잡아주는 구성은 자연의 신비를 관찰하는 것과 같아 대단히 흥미롭습니다.
이상으로 천간론 갑목의 첫 번째 포스팅을 마칩니다.728x90반응형'Observation > 육십갑자의 관계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간론_을목_유연한 확장 (1)_청련향 (0) 2022.12.25 천간론_갑목_등라계갑_갑과 을의 관계 (5)_청련향 (6) 2022.12.22 천간론_갑목(甲木)_갑경정(甲庚丁) (4)_청련향 (2) 2022.12.18 천간론_갑목(甲木)_갑경충(甲庚沖) (3)_청련향 (0) 2022.12.12 천간론_갑목(甲木)_갑기합(甲己合) (2)_청련향 (0) 2022.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