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마음 공부 기록_화두_축적과 성실함 (1)_청련향Meditation Note/🧚♀️ 마음 공부 기록 🧘 2023. 1. 27. 22:45
🙃 축적과 성실의 가치 저는 '사람이 반복적인 행동을 한다'라는 말은 양면성을 가진다고 생각합니다. 성실한 사람은 더욱 성실히 살고자 할 것이고, 쉽사리 의욕을 얻지 못하는 사람은 성실과 거리가 먼 삶을 살겠지요. 그렇지만요. 사람은 단지 성실하게 살기 위하여 살지 않습니다. 성실하게 사는 것이 꼭 삶의 목적일 수는 없기 때문이죠. 저는 자신이 삶에서 '원하는 결과' 혹은 '원하는 상태'가 있고, 그 결과와 상태가 자신의 곁으로 오길 바란다면, 우리는 축적을 위한 성실한 삶을 살게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간절하게 이루고 싶은 것을 늘 마음에 두고 산다는 건, 훌륭한 에너지 원이더군요. 자신의 삶을 자신이 원하는 모습으로 가꾸는 것은 우리가 살면서 풀어야 할 과제일지도 모르겠습니다. 기꺼이, 그리고 당당..
-
천간론_병화_병임충 (3)_청련향Observation/육십갑자의 관계성 2023. 1. 26. 14:53
丙壬沖 병화의 물상 가운데 대표적으로 태양이 있고, 이는 태양계의 중심 역할을 합니다. 반면 임수(壬水)의 물상은 생명을 잉태할 수 있는 물로 영양분을 포함한 풍성함이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바다를 들 수 있습니다. 바다는 육지와 마찬가지로 생물의 터전으로서 거대합니다. 이러한 점에서 저는 임수는 무토와 함께 우주 그 자체로 볼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아직 더 고민과 연구가 필요하지만요. 🤔 그리고 행성을 끌어당겨 자신을 중심으로 공전하도록 만드는 태양 역시 거대합니다. 이렇듯 병화와 임수는 모두 양(陽)으로서 서로 인력이 아닌 척력을 가집니다. 밀어내는 작용이 있으니 뒤섞이지 않고 고유성이 유지됩니다. 개성을 살리며 활용할 수 있으니 탁하지 않고 맑습니다. 맑으니 보기에 좋고, 보기 좋으니 아름다..
-
주역 64괘_동인(同人) (13)_청련향Observation/주역 64괘 2023. 1. 25. 22:06
동인(同人) 👩🏫 통변 주역 64괘 가운데 동인 괘는 위로 건괘, 아래로 리괘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건괘는 하늘, 리괘는 불로써 건괘와 리괘 모두 위로 향하는 성질을 지닙니다. 이러한 면에서 동인 괘는 건괘와 리괘가 동일하지 않지만, 같은 방향을 향하여 나아가는 괘임을 짐작할 수 있겠습니다. 먼저 음의 자리인 2위에 음효가 자리한 것을 제외하면 모두 양효로 이루어진 동인 괘는 음이 부족한데요. 4위와 6위에 양효가 보여 유연성이 부족한 모양새이며, 5위 즉 양위에 양효가 올바르게 자리하고 있더라도 그 주변에 그를 보필하는 인력이 겸손하지 않고 5위의 양효에 대한 예의가 적어 합을 이루지 못하는 점을 읽을 수 있지요. 먼저 리괘가 등장한 것은 처음이므로 리괘가 가진 특성을 고루 살피고자 합니다. 동인 괘..
-
천간론_병화_병신합 (2)_청련향Observation/육십갑자의 관계성 2023. 1. 24. 15:17
丙辛合 강렬한 빛을 발하는 병화는 단단하고 밀도 높은 신금(辛金)을 녹이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신금은 자신의 뛰어남이 세상에 드러나기를 원하는 데, 이를 돕는 것이 병화와 임수(壬水)입니다. 병화의 비밀 없는 투명한 점이 신금을 구체적으로 드러나도록 만드는 데, 이때 신금은 지저분한 먼지가 없어야 더욱 빛을 반사할 수 있습니다. 이때 신금을 깨끗하게 만드는 것이 임수입니다. 병화는 신금이 스스로 가꿀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됩니다. 병화는 신금을 다스리는 동시에 신금에게 충성하게 됩니다. 신금이 병화와 합을 이루면서, 병화에게 의무감, 자식, 직업, 결단력에 해당하는 임수를 발생시키기 때문입니다. 병화는 신금이 탄생시킨 임수에 의하여 신금에게 일부 다스림을 받습니다. 이러한 작용을 병신합이라고 부릅니다..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6 화병_청련향Art/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 감상 2023. 1. 23. 22:15
#6 화병 '꽃이 아름답다'라는 생각은 우리에게 참으로 익숙합니다. 이를 담는 화병은 어쩌면 꽃이 빛날 수 있도록 곁에서 소박하게 빛을 내야 할 텐데요. 여기 일제강점기 유리화병이 있습니다. 푸른빛이라고는 조금도 없는 맑은 빛이 인상적이에요. 그 표면에 사람의 형상이 음각되어 섬세함이 빛납니다. 꽃이라는 정적인 사물에 생기를 더하고 싶었기 때문일까요? 소리와 가락이 어우러진 잔치에서 볼 수 있는 악공과 칼춤을 추는 기생의 모습이 새겨져 있습니다. 화려한 꽃과 잎사귀를 감싸는 맑은 빛의 유리병은 신비로운 인상을 주기에 충분하였을 것입니다. 이제 화병의 기능성과 상징성을 살펴보겠습니다. ( •̀ ω •́ )✧ 다른 명칭 琉璃花甁, 유리 화병 전시 명칭 화병 국적/시대 한국 - 일제강점 재질 유리/보석 - 유..
-
주역 64괘_비(否) (12)_청련향Observation/주역 64괘 2023. 1. 17. 23:24
비(否) 👩🏫 통변 주역 64괘 가운데 비 괘는 건괘가 위로, 곤괘가 아래에 위치한 모습입니다. 건괘와 곤괘의 특성에 따라 건괘는 더욱 상승하고, 곤괘는 더욱 하강하여 건과 곤이 어울려 놀기 어려우니 갈등이 깊어지고 화합에 어려움을 겪습니다. 화합이 어려우니 발생한 문제 상황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이끌어가지 못합니다. 이러한 점에서 비 괘는 소통에 어려움을 겪으며, 흐르지 않고 막혀 답답한 상황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일종의 정체 상황으로 볼 수 있는데요. 막힘이 누적으로 이어져 변화를 만들게 되겠지요. 그러나 비 괘에서는 그 변화가 이루어지지 않으니 고통이 따릅니다. 이러한 상태가 지속되는 원인으로 2 위에 음효, 그리고 5위에 양효가 자리하여 상 괘와 하 괘 사이에 발생하는 합작용이 있습니다. 일정한 ..
-
천간론_병화_자체 발광 핵심인물 (1)_청련향Observation/육십갑자의 관계성 2023. 1. 15. 19:13
丙 ○ 양(陽) ○ 명확함 ○ 가장 밝은 것 ○ 스스로 빛을 냄. 발광(發光) ○ 직선적 ○ 숨기지 않음 ○ 외향성 🙃 궁금 포인트 : 병화를 왜 양으로 보는 가? 병화, 곧 태양은 태양계의 행성을 끌어당겨 그를 중심으로 공전하도록 합니다. 또 지닌 에너지가 넘쳐나 발산하는 방법으로 순환합니다. 곧 자신의 빛을 행성에게 나누어주는 셈인데요. 이러한 점에서 태양은 음에 질서를 부여하고, 자신의 곁으로 모이게 합니다. 양이 음을 끌어당겨 그의 주변에 모여들도록 하는 원리와 다르지 않습니다. 지도자가 곁에 사람을 두고, 영향을 주고받는 모습을 떠올릴 수 있겠습니다. 특히 태양이 지구에 주는 영향은 큰데요. 이 영향은 1년을 세는 단위인 '해'에서 실마리를 얻을 수 있습니다. 지구가 둥글기 때문에 지구는 태양의..
-
마음 공부 기록_화두_괴로움 마주하기 (3)_청련향Meditation Note/🧚♀️ 마음 공부 기록 🧘 2023. 1. 13. 20:32
🙃 괴로움의 장점 알기 괴로움은 너무 선명해서 좀처럼 잊히질 않습니다. 삶의 경고가 괴로움이라면, 우리에게 경고는 여러 해가 지나도 또렷하게 남아 있지요. 삶의 교훈은 괴로움에서 얻어지기 때문일까요? 우리는 더 잘 살고자 하는 마음에 괴로울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그 괴로움이 없다면 저는 너무 허탈할 것 같아요. 더 잘살고자 나를 돌아보며 살면, 결국 원하는 모습의 자신이 되어 있을지 아직은 모릅니다. 그렇지만 하루하루가 모여 삶이 쌓이고, 열정과 냉정이란 이름의 계절을 겪다 보면, 우리의 모습은 틀림없이 단단해져 있을 것입니다. 어제의 내가 괴로웠기 때문에 오늘의 내가 더 나은 사람이 되기도 합니다. '괴로움'은 나의 감정이 살아있다는 증거이니까요. 저는 이제 '괴로움'에서 장점을 이끌어내고자 합니다...
-
주역 64괘_태(泰) (11)_청련향Observation/주역 64괘 2023. 1. 12. 22:08
태(泰) 👩🏫 통변 주역 64괘 가운데 태 괘는 위로 곤 괘, 아래로 건 괘가 자리하여 건과 곤이 만난 괘입니다. 위에 땅을 상징하는 곤 괘, 아래에 하늘을 상징하는 건 괘가 있어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하늘과 땅의 위치가 뒤바뀌어 있습니다. 뒤 바뀌어 있기 때문에 하늘의 상승하려는 성질, 땅의 하강하려는 성질이 교차할 수 있습니다. 교차하므로 소통에 유리하게 됩니다. 정적이지 않고, 동적이며 활발함이 있습니다. 건을 아버지, 곤을 어머니로 볼 경우, 활발하게 교류하는 부부관계입니다. 교류가 없는 경우보다 긍정적입니다. 그러니 길하다고 말할 수 있겠습니다. 또 양과 음이 균형을 이루어 순환 속에서 안정성이 보장됩니다. 다만 5 효, 즉 양위에 음효가, 2 효, 즉 음위에 양효가 자리하므로 약간의 변..
-
천간론_을목_을목-병화-정화(을병정) (5)_청련향Observation/육십갑자의 관계성 2023. 1. 10. 21:34
을병정(乙丙丁) 을목은 확장하는 생명력으로서 그의 업적은 꽃을 피워 열매를 맺어 더 넓은 곳을 점령하는 것입니다. 열매의 목적은 더 넓은 땅에 그의 후손을 살게 하려는 데 있습니다. 이때 을목은 열매를 곧바로 맺는 방법이 있을지 모르지만, 꽃을 피우기 마련입니다. 꽃을 피우기 위해서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을목은 최선을 다하여야 꽃을 피울 것입니다. 이러한 점에서 꽃은 곧 을목의 작품입니다. 꽃은 을목의 일부로, 을목은 꽃의 기반입니다. 꽃에서 태어난 열매는 씨앗을 품고, 다시 을목으로 자라겠지요. 이때 꽃은 을목의 삶에서 화려한 사건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데요. 을목은 꽃 덕분에 자신의 가치를 높이고, 귀한 대우를 받습니다. 또 경제적인 이익을 얻는 데 인연합니다. 이때 을목이 병화를 생하는 경..